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www.hanajudan.com/page/page6
김영희우리옷 한복의의미와역사

Home > 한복이야기 > 한복의의미와역사

한복의의미와역사

한복의의미와역사

한복의정의

한복이란 간단히 말해서 한국 고유의 옷을 뜻한다.
짧은 저고리와 긴치마의 여자옷, 저고리와 넓은 바지의 남자옷을 말한다.
한복은 쭉 뻗은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이 조화를 이룬 우리 나라의 전통 의상이다.
여성은 짧은 저고리와 넉넉한 치마로 우아한 멋을 풍겼으며, 남성은 바지 저고리를 기본으로 조끼와 마고자로 멋을 냈다.

백의민족답게 기본색은 흰색이었으며 계절이나, 신분에 따라 입는 예법이나 소재, 색상이 모두 달랐다.
결혼과 같은 특별한 예식에는 평민들도 귀족이 입는 화려한 빛깔의 옷과 장신구로 한껏 멋을 냈다.
최근 국내에는 한복의 장점에 실용성을 가미한 개량 한복이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복의 역사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한복의 흔적을 발견한 것은 고구려 시대의 왕과 귀족을의 무덤 속 벽화에서였다.
고구려는 중국 당나라 시대의 의상과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그 후 한국의 왕과 몽골족 공주와의 혼사로 중국 용안시대의 옷이 한국에 들어왔고 그것이 한복의 시초가 된 것으로 보인다.
그 오랫동안 한복은 시대에 따라 저고리 길이, 소매통 넓이, 치마폭이 약간씩 달라질 뿐 큰 변화는 없었다.

즉 한복은 둥글고 조용하고 한국의 얼을 담고 있다.
실크나 면, 모시로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름의 색상이나 소매통 색상이 여자의 신분을 나타낸다.
또한 나이와 사회적 직위, 계절에 따라 색상에 변화를 줄 뿐 옷의 모양은 안동의 시골 아낙이나 대통령부인이나 모두 똑같다.
18m 원단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입기 쉬운 점이 한복의 장점이다.
명절과 결혼식 같은 특별한 날 주로 입혀진다.

시대별한복의변천사

한복은 우리 고유의 전통의상이며 그 역사와 유래를 제대로 아는 사람들이 드문것이 현실입니다.
시대별 한복의 변천사를 통해서 한복과 전통문화를 제대로 알게 되는 계기가 되는 바램입니다.

삼국시대

삼국시대에는 특히 의복의 재료인 직물이 크게 발달하여 견직물만 해도 주, 능, 사, 라 등으로 다양하게 생산되었고
모직물도 전, 백류, 포 등 여러 가지가 생산되었다.
이 시대의 또 다른 중요한 특색은 국가 체재의 확립과 더불어 계층화된 신분제도로서
복식도 일부 특권층의 것과 일반 서민의 것에 차등을 둠에 따라 귀족복과 서민복으로 구분되게 되었다는 것이다.

통일신라

통일신라시대에는 당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예복인 활옷, 원삼, 당의를 입기 시작하다.
기본적으로 호복계통인 고유복식의 구조위에 삼국시대에 없었던 새로운 복식이 등장하며
관모에 있어서는 복두가, 의복에 있어서는 반비, 배당, 그리고 표가 예이다.
신라의 기본복식 구조에 문화교류를 통해 새로운 당나라의 복식제도의 일부가 합쳐져서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

고려시대

고려후기에는 몽고풍이 상류층에 유행하였으며 서민층은 기복 복식을 고수하였으며 화관과 족두리가 들어왔다.
고려의 복식은 신라시대의 것을 계승하면서 당, 송, 원나라 등의 문화를 흡수 발전하였다.
왕복을 비롯하여 백관복에 이르기까지 관복은 송, 원, 명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이지만
일반서민의 복장인 우리 고유의 복식은 서민층에 의해 면면히 이어져 왔으며
여성복식은 공경대부에서 서민의 처, 기생에 이르기까지 큰 차이는 없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의 남자는 바지저고리에 두루마기 여자는 치마저고리의 기본형이 서민복으로 내려왔다.
저고리의 길이가 길고 여유있는 형태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작고 짧은 저고리에 풍성한 치마, 웅장한 머리모양 등 하후상박의 전통 한복미가 나타났고
신분과 권력에 따른 복식이 특색있게 발전하는 등 복식 발전기와 조선시대는 유교윤리를 받들던 때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후리게은 실학사상을 거치면서 복식도 변화하여 오늘날과 비슷한 형태로 정착되었다.

개화기이후

개항기에 우리의 복식은 중국과 서양 그리고 고유의 복식이 융합된 복식의 변천을 보인다.
남자복식은 의복의 개혁에 따라 관복의 변천과 사복의 변천, 그리고 양복의 착용에서 복식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여자복식의 변천은 한복의 개량과 양장의 착용을 들 수 있다.
복식 기본형태는 유지하면서도 저고리 길이에 변화가 많았으며 고름 대신 브로치를 달거나 통치마를 입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