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bey Road
최근 수정 시각: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 대한 내용은 애비 로드 스튜디오 문서 참고하십시오.
|
비틀즈의 역대 스튜디오 음반 | |||||||||||||||||||||||||||||||||||||||||||||||||||||||||||||||||||||||||||||||||||||||||||||||||||||||||||||||||||||||||||||||||||||||||||||||||||||||||||||||||||||||||||||||||||||||||||||||||||||||||||||||||||||||||||||||||||||||||||||||||||||||||||||||||||||||||||||||||||||||||||||||||||||||||||||||||||||||||||||||||||||||||||||||||||||||||||||||||||||||||||||||||||||||||||||||||||||||||||||||||||||||||||||||||||||||||||||||||||||||||||||||||||||||||||||||||||||||||||||||||||||||||||||||||||||||||||||||||||||||||||||||||||||||||||||||||||||||||||||||||||||||||||||||||||||||||||||||||||||||||||||||||||||||||||||||||||||||||||||||||||||||||||||||||||||||||||||||||||||||||||||||||||||||||||||||||||||||||||||||||||||||||||||||||||||||||||||||||||||||||||||||||||||||||||||||||||||||||||||||||||||||||||||||||||||||||||||||||||||||||||||||||||||||||||||||||||||||||||||||||||||||||||||||||||||||||||||||||||||||||||||||||||||||||||||||||||||||||||||||||||||||||||||||||||||||||||||||||||||||
1969년 1월 13일 10집 Yellow Submarine | → | 1969년 9월 26일 11집 Abbey Road | → | 1970년 5월 8일 12집 Let It Be | |||||||||||||||||||||||||||||||||||||||||||||||||||||||||||||||||||||||||||||||||||||||||||||||||||||||||||||||||||||||||||||||||||||||||||||||||||||||||||||||||||||||||||||||||||||||||||||||||||||||||||||||||||||||||||||||||||||||||||||||||||||||||||||||||||||||||||||||||||||||||||||||||||||||||||||||||||||||||||||||||||||||||||||||||||||||||||||||||||||||||||||||||||||||||||||||||||||||||||||||||||||||||||||||||||||||||||||||||||||||||||||||||||||||||||||||||||||||||||||||||||||||||||||||||||||||||||||||||||||||||||||||||||||||||||||||||||||||||||||||||||||||||||||||||||||||||||||||||||||||||||||||||||||||||||||||||||||||||||||||||||||||||||||||||||||||||||||||||||||||||||||||||||||||||||||||||||||||||||||||||||||||||||||||||||||||||||||||||||||||||||||||||||||||||||||||||||||||||||||||||||||||||||||||||||||||||||||||||||||||||||||||||||||||||||||||||||||||||||||||||||||||||||||||||||||||||||||||||||||||||||||||||||||||||||||||||||||||||||||||||||||||||||||||||||||||||||||||||||
수상 내역 | |||||||||||||||||||||||||||||||||||||||||||||||||||||||||||||||||||||||||||||||||||||||||||||||||||||||||||||||||||||||||||||||||||||||||||||||||||||||||||||||||||||||||||||||||||||||||||||||||||||||||||||||||||||||||||||||||||||||||||||||||||||||||||||||||||||||||||||||||||||||||||||||||||||||||||||||||||||||||||||||||||||||||||||||||||||||||||||||||||||||||||||||||||||||||||||||||||||||||||||||||||||||||||||||||||||||||||||||||||||||||||||||||||||||||||||||||||||||||||||||||||||||||||||||||||||||||||||||||||||||||||||||||||||||||||||||||||||||||||||||||||||||||||||||||||||||||||||||||||||||||||||||||||||||||||||||||||||||||||||||||||||||||||||||||||||||||||||||||||||||||||||||||||||||||||||||||||||||||||||||||||||||||||||||||||||||||||||||||||||||||||||||||||||||||||||||||||||||||||||||||||||||||||||||||||||||||||||||||||||||||||||||||||||||||||||||||||||||||||||||||||||||||||||||||||||||||||||||||||||||||||||||||||||||||||||||||||||||||||||||||||||||||||||||||||||||||||||||||||||||
|
Abbey Road | ||||||||||||||||||||||||||||||||||||||||||||||||||||||||||||||||
| ||||||||||||||||||||||||||||||||||||||||||||||||||||||||||||||||
발매일 | ||||||||||||||||||||||||||||||||||||||||||||||||||||||||||||||||
녹음일 | ||||||||||||||||||||||||||||||||||||||||||||||||||||||||||||||||
장르 | ||||||||||||||||||||||||||||||||||||||||||||||||||||||||||||||||
재생 시간 | 47:26 | |||||||||||||||||||||||||||||||||||||||||||||||||||||||||||||||
곡 수 | 17곡 | |||||||||||||||||||||||||||||||||||||||||||||||||||||||||||||||
프로듀서 | ||||||||||||||||||||||||||||||||||||||||||||||||||||||||||||||||
스튜디오 | EMI, 트리던트, 올림픽 | |||||||||||||||||||||||||||||||||||||||||||||||||||||||||||||||
레이블 | ||||||||||||||||||||||||||||||||||||||||||||||||||||||||||||||||
싱글 발매곡 | ||||||||||||||||||||||||||||||||||||||||||||||||||||||||||||||||
사용 악기 | ||||||||||||||||||||||||||||||||||||||||||||||||||||||||||||||||
|
1. 개요2. 과정3. 평가4. 50주년 기념반5. 트랙 리스트
5.1. Side A
6. 참여자7. 앨범 아트5.1.1. Come Together5.1.2. Something5.1.3. Maxwell's Silver Hammer5.1.4. Oh! Darling5.1.5. Octopus's Garden5.1.6. I Want You (She's So Heavy)
5.2. Side B7.1. 패러디/오마주
8. 여담Get Back[3] 녹음 이후로 금방이라도 갈라질 듯이 분열했던 비틀즈 멤버들은 "영화 촬영과 라이브 공연 등 다른 요소들을 제쳐 두고 오로지 음반 작업에 집중해 한 장을 더 만들어보자"라는 폴 매카트니의 제안에 동의했다. 모두에게 잊고 싶은 기억이 된 Get Back 세션이 완성 여부조차 알 수 없게 되자, 기존에 해오던 흐름으로 되돌아가 음반 제작에 집중하기로 한 결정이었다. 프로듀서 조지 마틴 역시 밴드의 분열을 직감하던 때 멤버들이 음반을 추가로 제작하겠다고 하자 꽤나 놀랐다고 한다. Let It Be 녹음 이후 해체가 다가왔다고 예상했던 터라 존 레논에게도 "정말로 할 거니?"라고 되물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동안 해오던 방식대로 프로듀싱한다는 조건 아래 새 앨범의 프로듀싱을 맡기로 한다.
이에 따라 1969년 여름부터 비틀즈 멤버들은 자신들이 녹음하는 마지막 음반이 될 애비 로드의 제작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아무도 이 앨범이 '마지막' 앨범이 되리라 확신하지는 못했지만, 멤버들 모두 애비 로드 작업이 밴드로서의 마지막 여정이 될 것을 은연중에 예감하고 있었다. 멤버들 모두가 마지막 시너지를 발휘한 덕분에, 애비 로드는 화이트 앨범보다도 더 확연해진 각자의 개성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음악적 통일성은 오히려 더 높은 편이다. 또한 전작에서 묻어나던 음악의 색채는 많이 가라앉은 편이고, 전반적인 분위기도 화이트 앨범이나 Let It Be에 비해 대체로 밝은 편이다.
앨범 이름은 녹음이 진행된 EMI 스튜디오 앞 도로 이름에서 따왔다. 참고로 이 스튜디오의 당시 이름은 EMI 스튜디오였으나, 비틀즈의 애비로드 앨범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자 1976년에 EMI에서 스튜디오 이름을 '애비 로드 스튜디오'로 바꾸게 된다. 참고로 이 스튜디오는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스튜디오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스튜디오인 만큼 찾아가면 수많은 관광객들을 볼 수 있다. 애비 로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이에 따라 1969년 여름부터 비틀즈 멤버들은 자신들이 녹음하는 마지막 음반이 될 애비 로드의 제작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아무도 이 앨범이 '마지막' 앨범이 되리라 확신하지는 못했지만, 멤버들 모두 애비 로드 작업이 밴드로서의 마지막 여정이 될 것을 은연중에 예감하고 있었다. 멤버들 모두가 마지막 시너지를 발휘한 덕분에, 애비 로드는 화이트 앨범보다도 더 확연해진 각자의 개성에 기초하고 있음에도 음악적 통일성은 오히려 더 높은 편이다. 또한 전작에서 묻어나던 음악의 색채는 많이 가라앉은 편이고, 전반적인 분위기도 화이트 앨범이나 Let It Be에 비해 대체로 밝은 편이다.
앨범 이름은 녹음이 진행된 EMI 스튜디오 앞 도로 이름에서 따왔다. 참고로 이 스튜디오의 당시 이름은 EMI 스튜디오였으나, 비틀즈의 애비로드 앨범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자 1976년에 EMI에서 스튜디오 이름을 '애비 로드 스튜디오'로 바꾸게 된다. 참고로 이 스튜디오는 현재까지도 사용되는 스튜디오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스튜디오인 만큼 찾아가면 수많은 관광객들을 볼 수 있다. 애비 로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The Beatles의 음악 세계로 들어서는 가장 탁월한 시작점이 되어준 마지막 앨범. 'Abbey Road'야말로 The Beatles의 앨범 중 이들의 음악 세계에 입문하기에 가장 적절한 작품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The Beatles의 전설적인 프로듀서 George Martin의 아들이자, 밴드의 카탈로그를 관리하는 Giles Martin이 Apple Music에 한 이야기죠. 언제 들어도 요즘 음악 같기 때문이라는 그의 설명은 정확합니다. The Beatles의 다른 앨범들을 둘러보면 각 시대를 포착한 사진처럼 느껴집니다. 덥수룩한 머리에 양복을 입은 초기, 팝이라는 형식을 갖고 실험하던 중기, 혹은 총천연색으로 물든 사이키델릭 등 앨범마다 연상되는 시대가 다르죠. 반면 'Abbey Road'가 보여주는 것은 단순하면서도 확고합니다. 천부적인 재능을 지닌 4명이 한곳에 모여 불후의 명곡들을 연주하는 것이죠. 'Abbey Road'는 음악 역사를 바꾼 밴드 The Beatles의 11번째 앨범이자, 네 멤버가 모두 참여한 마지막 앨범입니다. The Beatles의 위대한 역사와 영향력을 이야기하면서 딱 한 장의 앨범만 꼽는다는 건 어리석은 일이겠지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1969년에 발매된 'Abbey Road'가 가장 시대를 초월한 작품이라는 거죠. 이 위대한 밴드가 기량의 정점에 도달해 내놓은 앨범 수록곡들은 다시 없을 정도로 완벽합니다. 전작인 'The Beatles (The White Album)' (1968)의 광대함과는 달리, 1969년 앨범 'Abbey Road'는 밴드가 지닌 스펙트럼을 비교적 간결하게 보여줍니다. 밝고 순수하며('Here Comes the Sun'), 때로는 다소 괴팍하고('Come Together', 'Polythene Pam'), 이중적이면서도('Maxwell's Silver Hammer') 로맨틱하고('Something'), 또 기발하죠('Octopus's Garden', 'Mean Mr. Mustard'). 그리고 앨범의 마지막은 8개 트랙에 걸친 16분짜리 메들리로 색다른 재미를 줍니다. 팝 음악 역사에서 가장 역동적인 그룹이었던 The Beatles의 시대는 사라지고 있었지만, 멤버 4명은 범접할 수 없는 창의력과 뜨거운 동료애로 마지막 역작을 탄생시켰습니다. |
비틀즈 중후기의 다른 많은 앨범들이 실험적이면서 대중적이라면, 이 앨범은 대중적이면서 실험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 비틀즈식 예술을 집대성한 앨범이자 1960년대 대중음악의 표본으로 여겨지며, 동시에 비틀즈의 전작들인 <Revolver>,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The Beatles>와 함께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2020년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서 5위에 선정되었으며, 상위권에 있는 비틀즈 앨범들 중 유일하게 순위가 오른 앨범으로[4], Rubber Soul이나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처럼 평가가 내려가거나, Magical Mystery Tour, The Beatles처럼 더 높게 평가받거나, A Hard Day's Night처럼 새롭게 재평가받는 다른 앨범들과 달리 예나 지금이나 큰 변함없이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앨범이다. 롤링 스톤에서 독자들을 대상으로 투표한 역대 비틀즈 앨범 인기 순위에서는 2위를 기록했고 1위를 한 Revolver와 박빙이었다고 한다.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빌보드 차트에서는 무려 11주 동안 1위를 지켰고, 뒤에서 서술하다시피 발매 후 50년 후인 2019년에는 50주년 리이슈를 통해 다시 UK차트 1위를 달성했다. 1960년대 발매된 앨범 중 다섯 번째로 많은 판매고를 기록한 앨범[5]이며, 꾸준한 사랑을 보여주듯 앨범 판매량은 3천만장을 넘어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과 함께 가장 많이 팔린 비틀즈 앨범 중 하나가 되었다. 개별 수록곡으로 보아도 수록곡 하나하나가 큰 인기를 얻었다. Come Together와 Something은 더블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Here Comes the Sun은 비틀즈의 곡 중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은 스트리밍 횟수를 기록한 곡이다.[6]
각 멤버들이 자신의 색깔을 명확하게 드러내면서도 전체적으로는 조화로운 사운드를 낸다는 점에서 전작인 The Beatles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특히나 조지 해리슨의 활약이 돋보이는 앨범으로, 그가 작곡한 Something과 Here Comes the Sun은 레논-매카트니가 작곡한 그 어느 곡에도 밀리지 않을 정도의 명곡이다. 링고 스타가 작곡한 Octopus’s Garden 역시 시대에 관계없이 꾸준한 사랑을 받는 곡으로 링고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다.
전작인 The Beatles가 워낙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시도해 이 앨범의 장르 다양성이 종종 묻히는 경우도 있으나, 이 앨범 역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만든 것은 물론, 오히려 더 나아가 그 곡들이 잘 어우러지도록 구성하여 듣기 편하고 대중성 있는 앨범이 되었다.[7] 이 앨범 안에 있는 장르를 보자면 블루스 록, 스왐프 팝과 하드 록, 둠 메탈의 시초부터 소프트 록, 사이키델릭 록, 포크 록, 그리고 클래식 록 등 다채로운 장르의 노래가 들어있고 또한 각종 실험적인 효과음과 다양한 악기, 무그 신디사이저의 활용, 최초의 히든 트랙 삽입 등 매우 실험적인 부분까지 존재하며 아름다운 멜로디로 대중성까지 놓치지 않았다.
그러나 발매 당시에는 음악 평론가들에게 박한 평가를 받았는데, 그 이유는 인위적이고 가식적인 팀워크로 이루어 낸 앨범이라고 생각했고, 그나마 'Come Together'와 'Something'만이 좋은 곡이라고 평가했다고 한다. 또한 메들리는 좋으나 개별적인 곡들은 별로라는 평가도 있었다. 하지만 앨범이 유명세를 탈수록, 롤링스톤즈의 드러머 찰리 와츠부터 이 앨범에 대해 극찬을 했고, 그 극찬에 이어 평론가들은 과거의 복잡한 앨범들에 비해 음악은 단순해졌지만, 여전히 정교하고 독창적이라고 평가를 다시 하였다.
그리하여 1980년대로 접어들면서 이 앨범은 평론가들에게 그 당시 기준으로는 시대를 초월한 앨범이라고 평가가 첫 반응과는 완전히 정반대로 뒤바뀌었다. 미국의 한 평론가는 드디어 존 레논이 베토벤을 뛰어넘었다고 평가했다.
Rate Your Music에서도 비틀즈 앨범 중 최고 평점을 달리고 있다.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와 The Beatles에 이어서 애비 로드 역시 50주년 기념반이 발표되었다.
종류는 수퍼 딜럭스, 3LP 딜럭스, 2CD 딜럭스, 한정판 픽처 디스크, CD, LP, 디지털, 스트리밍이다. 수퍼 딜럭스는 4CD 박스 세트 안에 1CD의 2019 Mix, 2CD의 데모 세션 테이프, 1CD의 블루레이가 제공되며 100페이지 분량의 책도 동봉된다. 3LP 한정 딜럭스 판은 180그램의 믹스 1장, 데모 2장이 포함된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24Bit/96kHz도 공개되었다. 모든 트랙을 공개했지만 블루레이에서 제공되었던 5.1채널(24Bit/96kHz)과 7.1채널 돌비 아트모스 버전(24Bit/48kHz)은 없다.
애비 로드 수록곡들 중 Something이 2019년 8월 8일 가장 먼저 2019 믹스와 데모, Take 39버전이 공개되었다. 그 다음 2019년 9월 6일 Oh! Darling의 2019 믹스와 테이크 4가 공개되었다. 이어서 2019년 9월 20일 Come Together의 2019 믹스와 테이크 5가 공개되었고, 마침내 2019년 9월 27일 Abbey Road 50 Anniversary Edition이 발매되었다. 더불어 Here Comes the Sun의 2019 믹스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발매 기념 인터뷰에서, 자일스 마틴이 2020년 개봉 예정인[8] 피터 잭슨의 Let It Be 영화에 맞춰서 관련 음원을 작업하고 있다고 밝혀, 다음 차례는 Let It Be 50주년 기념반인 것이 확정되었다.
종류는 수퍼 딜럭스, 3LP 딜럭스, 2CD 딜럭스, 한정판 픽처 디스크, CD, LP, 디지털, 스트리밍이다. 수퍼 딜럭스는 4CD 박스 세트 안에 1CD의 2019 Mix, 2CD의 데모 세션 테이프, 1CD의 블루레이가 제공되며 100페이지 분량의 책도 동봉된다. 3LP 한정 딜럭스 판은 180그램의 믹스 1장, 데모 2장이 포함된다.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24Bit/96kHz도 공개되었다. 모든 트랙을 공개했지만 블루레이에서 제공되었던 5.1채널(24Bit/96kHz)과 7.1채널 돌비 아트모스 버전(24Bit/48kHz)은 없다.
애비 로드 수록곡들 중 Something이 2019년 8월 8일 가장 먼저 2019 믹스와 데모, Take 39버전이 공개되었다. 그 다음 2019년 9월 6일 Oh! Darling의 2019 믹스와 테이크 4가 공개되었다. 이어서 2019년 9월 20일 Come Together의 2019 믹스와 테이크 5가 공개되었고, 마침내 2019년 9월 27일 Abbey Road 50 Anniversary Edition이 발매되었다. 더불어 Here Comes the Sun의 2019 믹스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발매 기념 인터뷰에서, 자일스 마틴이 2020년 개봉 예정인[8] 피터 잭슨의 Let It Be 영화에 맞춰서 관련 음원을 작업하고 있다고 밝혀, 다음 차례는 Let It Be 50주년 기념반인 것이 확정되었다.
2019년 10월 4일(현지시간) Abbey Road 50주년 기념반이 빌보드 200에서는 3위를 기록하고, 1970년 1월 31일 차트 이후 다시 UK 앨범 차트 1위에 등극함으로써 가장 오랜 텀을 두고 다시 1위에 오른 앨범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1위에 다시 등극하기까지 자그마치 49년 252일이 걸렸다. 이때 Abbey Road에 1위를 내준 앨범은 리암 갤러거의 Why Me? Why Not.이다.[9] 참고로 이 부문 2위 기록도 비틀즈가 가지고 있는데, 바로 2017년에 발매한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의 50주년 기념반이다. 이 기록도 만만찮은데 무려 49년 125일 만에 1위를 되찾았다.
| |||||||||||||||||||||||||||||||||||||||||||||||||||||||||||||||||||||
|
Side A에는 앨범의 두 싱글이 수록되어 있고, Side B에는 애비로드의 가장 큰 특징인 애비로드 메들리가 수록되어 있다. You Never Give Me Your Money와 Sun King은 귀뚜라미 소리로 연결이 되고, Sun King부터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는 Sun King Medley라 불린다. Golden Slumbers-Carry That Weight-The End은 아예 한 곡으로 취급되기도 한다.[10]
50주년 기념반에 수록된 애비로드 메들리 Rough Mix[11] |
B면의 대부분(첫 두 곡인 'Here Comes the Sun', 'Because'와 마지막 곡인 'Her Majesty'는 제외)은 폴 매카트니의 주도로 몇 개의 미완성곡들을 포함해 이어놓은 메들리가 차지한다. 내용상으로는 전혀 연결되지 않지만 연주를 이어서 했기 때문에 8곡[12]의 메들리는 끊지 않고 한 번에 들어야 한다. 만약에 끊는다면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s가 끝날 때뿐이다.
이 메들리는 다시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곡 'Sun King'부터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까지가 한 부분, 'Golden Slumbers - Carry That Weight - The End'가 또 다른 한 부분이다. 전자는 존 레논의 색채가 짙고 후자는 폴 매카트니의 색채가 짙다. 특히 뒤의 메들리는 비틀즈의 해체를 암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 메들리가 끝난 후 10여 초의 공백이 지나면 'Her Majesty'[13]가 나오는데 23초 정도로 아주 짧다. 이후 'Her Majesty'는 히든 트랙의 시발점이 되었다.
메들리의 곡들은 상술한대로 내용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진 않지만,[14] 음악학자 월터 에버럿(Walter Everett)은 이기심과 사랑이라는 주제를 공유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기심을 상징하는 곡은 'You Never Give Me Your Money', 'Mean Mr. Mustard', 'She Came in Through the Bathroom Window' 등이 있고, 사랑을 상징하는 곡은 'Sun King', 'Golden Slumbers' 등이 있다. 'Carry That Weight'에서의 이기심에 대한 고찰 끝에, 'The End'의 마지막 구절[15]은 사랑과 이기심은 결국 공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주장.
He say I know you, you know me 그가 말하길, "난 너를 알고, 너도 나를 알아" One thing I can tell you is you got to be free "내가 네게 말해줄 수 있는 게 있다면, 넌 자유로워야 한다는 거야"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Somewhere in her smile she knows 미소 속에서 그녀는 알고 있어요 That I don't need no other lover 제게는 다른 사랑이 필요하지 않단걸요 |
|
Composed/Wirtten by 조지 해리슨
Bang! Bang! Maxwell's silver hammer 빵! 빵! 맥스웰의 은망치가 Came down upon her head 그녀의 머리를 내려쳤죠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Oh! Darling, please believe me 오! 그대, 제발 저를 믿어 주세요 I'll never let you down 당신을 실망시키지 않을게요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We would be warm below the storm 우리는 폭풍우 속에서도 따뜻했었지 In our little hide-a-way beneath the waves 파도 아래 우리의 작은 은신처에서 |
|
Composed/Wirtten by 링고 스타
I want you, I want you so bad 난 너를 원해, 난 너를 정말로 원해 It's driving me mad, it's driving me mad 그게 나를 미치게 만들어, 그게 나를 미치게 만들어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Little darling, the smile's returning to their faces 그대여, 사람들 얼굴에 다시 미소가 피어올라요 Little darling, it seems like years since it's been here 그대여, 해를 본 게 몇 년은 된 것 같아요 |
|
Composed/Wirtten by 조지 해리슨
Love is old, love is new 사랑은 오래된 것, 사랑은 새로운 것이야 Love is all, love is you 사랑은 모든 것이고, 사랑은 당신이야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But oh, that magic feeling, nowhere to go 하지만 오, 갈 곳이 없다는 그 마법 같은 기분이란 Oh, that magic feeling, nowhere to go 갈 곳이 없다는 그 마법 같은 기분이란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Quando para mucho mi amore de felice corazón 내 사랑이 정말 많은 행복한 마음이라면 Mundo paparazzi mi amore chicka ferdy parasol 세상의 파파라치, 내 사랑, 칙카, 페르디와 태양을 위하여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Mean Mister Mustard sleeps in the park 못된 머스타드 씨는 공원에서 잠을 청해요 Shaves in the dark trying to save paper 돈을 아낀다면서 면도도 불 끄고 하죠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Well, you should see Polythene Pam 음, 한번 폴리틴 팸을 만나봐 She's so good-looking, but she looks like a man 괜찮게 생겼지만, 남자같이 생겼어 |
|
Composed/Wirtten by 존 레논
Sunday's on the phone to Monday 일요일에는 월요일에게 전화하고 Tuesday's on the phone to me 화요일에는 나에게 전화하지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Golden Slumbers fill your eyes 달콤한 선잠이 당신 눈에 가득하군요 Smiles awake you when you rise 당신이 일어날때쯤 내가 미소로 반겨줄게요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Boy, you're gonna carry that weight 이봐, 넌 무거운 짐을 짊어져야 해 Carry that weight a long time 오랫동안 무거운 짐을 짊어져야 할 거야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Her Majesty's a pretty nice girl 여왕 폐하께서는 정말 괜찮은 여자예요 Someday I'm going to make her mine, oh yeah 언젠가 그녀를 제 여자로 만들 거랍니다, 오, 맞아요 |
|
Composed/Wirtten by 폴 매카트니
- 존 레논 - 리드 보컬, 배킹 보컬,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하몬드 오르간, 무그 신시사이저, 백색소음기, 사운드 이펙트, 퍼커션
- 폴 매카트니 - 리드 보컬, 배킹 보컬,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하몬드 오르간, 무그 신시사이저, 사운드 이펙트, 박수, 마라카스, 퍼커션
- 조지 해리슨 - 리드 보컬, 배킹 보컬,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하몬드 오르간, 하모니움, 무그 신시사이저, 박수, 퍼커션
- 조지 마틴 - 피아노, 일렉트릭 하프시코드, 일렉트릭 오르간, 하모니움, 퍼커션
- 빌리 프레스턴 - 하몬드 오르간
- 말 에반스 - 모루[18]
이외의 오케스트라는 간략히만 서술한다.
- 비올라 네 대
- 첼로 네 대
- 더블베이스
- 피콜로 두 대
- 플루트 두 대
- 알토플루트 두 대
- 클라리넷 두 대
- 바이올린 두 대
- 더블베이스
- 호른 네 대
- 트럼펫 세 대
- 트럼본
- 베이스 트럼본
1969년 8월 8일, 애비 로드 스튜디오 정문에서 커버 사진 촬영 중인 비틀즈[19] |
앨범 커버가 매우 유명하다. 커버를 찍은 장소 또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 애비 로드 스튜디오와 그 앞의 횡단보도가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 받아 영국 2급 등록건축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이 사진은 찍으러 멀리 가기 귀찮아서 그냥 대충 동네 앞에서 찍었다고 한다. 원래 앨범 제목은 현대 음악의 정수를 담는다는 뜻에서 에베레스트로 지으려 했고, 표지 역시 히말라야에 가서 촬영하려 했다가 멤버들의 반대로 에비로드로 결정됐다. 당시 이들을 알아본 한 경찰관이 촬영이 진행되는 것을 보고 잠시 차량 통행을 막아줬다고 한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장면은 총 6장을 찍었고 이 중 다섯 번째로 찍은 사진을 앨범 커버로 채택했다. 이유는 6장 중에 다리 모양이 V자로 제일 잘 나와서라고.다른 버전의 횡단보도 사진들.
비틀즈 음악을 사용한 리듬게임인 The Beatles: Rock Band 광고에선 비틀즈 멤버들의 원래 영상과 합성을 이용해 앨범 커버를 영상으로 만들었다. 중간에 기타를 건네받은 조지 해리슨의 경우 그의 아들인 다니 해리슨이 연기했다.
이 사진은 폴 매카트니가 신발을 벗고 있다는 점,[20][21] 뒤에 보이는 차 번호판(LMW 281F) 등으로 '폴 매카트니 사망설'이라는 어이없는 설의 근거로 쓰이기도 했다. 대략적인 논조는 이렇다. 왼쪽부터 묘지기&인부, 죽은 사람(관 속에 들어가느라 신발을 벗었다), 유족, 목사(흰 옷)라는 것. 물론 허무맹랑한 어불성설이다.
잘 보면 뒷배경에 한 남자가 있는데, 이름은 폴 콜(Paul Cole)이라고 한다. 미국인으로, 영국에 놀러왔다가 우연히 찍힌 이 사진 커버가 유명해진 덕에 이 분도 졸지에 유명인사가 되었다. 폴 콜 생전 모습. 2008년 초에 91세 나이로 눈을 감았다.
폴 콜 뒤에 저 멀리 3명이 흐릿하게 보이는데, 폴 콜보단 거리가 더 멀어서인지 그다지 알려지지 못했다. 이들은 데릭 시그로브(Derek Seagrove), 스티브 밀우드(Steve Milwood), 앨런 플래너건(Alan Flanagan)이라는 남성 셋이었다. 이들은 영국인으로, 일하다가 쉬는 시간에 밖에 나와 수다떨던 도중에 찍혔다고.
왼쪽에 보이는 하얀색 폭스바겐 비틀은 인근 주민이 주차해놓은 차인데, 앨범이 발매되자마자 저 차의 번호판이 바로 도난당했고, 이후 다른 번호판을 갈아끼워도 누가 계속 훔쳐갔다고 한다. 결국 저 차는 독일에서 2530파운드에 경매로 팔렸다고 하며, 2001년부터는 독일의 한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오른쪽의 검은 차는 경찰차로, 차 번호가 SYD 724F이다.
조지 해리슨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멤버가 입은 양복은 토미 너터라는 사람이 디자인했다고 한다. 존 레논의 양복은 1969년 디자이너 테드 라피도스가 파리에서 만든 것인데, 경매에 나왔다.#
현재 애비 로드 횡단보도는 저기서 10m 정도 이동했다고 한다. 하지만 저 횡단보도에서는 여전히 국내외의 수많은 비틀즈빠들이 폼잡으려고 시도때도 없이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종종 짜증을 내기도 한다.[22] 영국 정부 관광청의 후원으로 1998년에 런던 여행을 갔다온 신해철과 윤상도 당연히 이 스튜디오를 방문했는데, 관광청에서 발간한 무크지 'GB98'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횡단보도는 윤상만 건넜고, 신해철은 온갖 낙서가 적힌 스튜디오 담벽 앞에 앉아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관광명소화가 되어서 웹캠도 있다. 보고 있으면 실제 통행인보다 앨범의 표지를 흉내내는 사진을 찍으려는 관광객이 더 많다. 오랜 세월이 지나 노면 표식이 상당히 훼손되었지만 워낙에 인기 관광지인 터라 손을 못 대고 있다가 2020년 코로나19로 관광객이 뜸해진 틈을 타 새로 페인트칠을 했다. 한번은 어떤 여성이 애비 로드를 급하게 뛰어가다가 차에 치여버리는 사고가 그대로 녹화된 적도 있다. 생명에 지장은 없었다고.#
Rubber Soul의 앨범 커버로 사용된 사진을 복원한 적 있던 Clayton Hickman이 이 앨범의 커버 사진도 새로 복원했다. 사유는 이미 네거티브 필름이 사라진 지 오래여서라고...#
횡단보도를 건너는 장면은 총 6장을 찍었고 이 중 다섯 번째로 찍은 사진을 앨범 커버로 채택했다. 이유는 6장 중에 다리 모양이 V자로 제일 잘 나와서라고.다른 버전의 횡단보도 사진들.
비틀즈 음악을 사용한 리듬게임인 The Beatles: Rock Band 광고에선 비틀즈 멤버들의 원래 영상과 합성을 이용해 앨범 커버를 영상으로 만들었다. 중간에 기타를 건네받은 조지 해리슨의 경우 그의 아들인 다니 해리슨이 연기했다.
이 사진은 폴 매카트니가 신발을 벗고 있다는 점,[20][21] 뒤에 보이는 차 번호판(LMW 281F) 등으로 '폴 매카트니 사망설'이라는 어이없는 설의 근거로 쓰이기도 했다. 대략적인 논조는 이렇다. 왼쪽부터 묘지기&인부, 죽은 사람(관 속에 들어가느라 신발을 벗었다), 유족, 목사(흰 옷)라는 것. 물론 허무맹랑한 어불성설이다.
잘 보면 뒷배경에 한 남자가 있는데, 이름은 폴 콜(Paul Cole)이라고 한다. 미국인으로, 영국에 놀러왔다가 우연히 찍힌 이 사진 커버가 유명해진 덕에 이 분도 졸지에 유명인사가 되었다. 폴 콜 생전 모습. 2008년 초에 91세 나이로 눈을 감았다.
폴 콜 뒤에 저 멀리 3명이 흐릿하게 보이는데, 폴 콜보단 거리가 더 멀어서인지 그다지 알려지지 못했다. 이들은 데릭 시그로브(Derek Seagrove), 스티브 밀우드(Steve Milwood), 앨런 플래너건(Alan Flanagan)이라는 남성 셋이었다. 이들은 영국인으로, 일하다가 쉬는 시간에 밖에 나와 수다떨던 도중에 찍혔다고.
왼쪽에 보이는 하얀색 폭스바겐 비틀은 인근 주민이 주차해놓은 차인데, 앨범이 발매되자마자 저 차의 번호판이 바로 도난당했고, 이후 다른 번호판을 갈아끼워도 누가 계속 훔쳐갔다고 한다. 결국 저 차는 독일에서 2530파운드에 경매로 팔렸다고 하며, 2001년부터는 독일의 한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오른쪽의 검은 차는 경찰차로, 차 번호가 SYD 724F이다.
조지 해리슨을 제외한 나머지 세 멤버가 입은 양복은 토미 너터라는 사람이 디자인했다고 한다. 존 레논의 양복은 1969년 디자이너 테드 라피도스가 파리에서 만든 것인데, 경매에 나왔다.#
현재 애비 로드 횡단보도는 저기서 10m 정도 이동했다고 한다. 하지만 저 횡단보도에서는 여전히 국내외의 수많은 비틀즈빠들이 폼잡으려고 시도때도 없이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종종 짜증을 내기도 한다.[22] 영국 정부 관광청의 후원으로 1998년에 런던 여행을 갔다온 신해철과 윤상도 당연히 이 스튜디오를 방문했는데, 관광청에서 발간한 무크지 'GB98'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횡단보도는 윤상만 건넜고, 신해철은 온갖 낙서가 적힌 스튜디오 담벽 앞에 앉아있는 모습으로 나온다.
관광명소화가 되어서 웹캠도 있다. 보고 있으면 실제 통행인보다 앨범의 표지를 흉내내는 사진을 찍으려는 관광객이 더 많다. 오랜 세월이 지나 노면 표식이 상당히 훼손되었지만 워낙에 인기 관광지인 터라 손을 못 대고 있다가 2020년 코로나19로 관광객이 뜸해진 틈을 타 새로 페인트칠을 했다. 한번은 어떤 여성이 애비 로드를 급하게 뛰어가다가 차에 치여버리는 사고가 그대로 녹화된 적도 있다. 생명에 지장은 없었다고.#
Rubber Soul의 앨범 커버로 사용된 사진을 복원한 적 있던 Clayton Hickman이 이 앨범의 커버 사진도 새로 복원했다. 사유는 이미 네거티브 필름이 사라진 지 오래여서라고...#
- 【펼치기 · 접기】
커버 사진은 유명하기도 하고 따라하기도 쉬워서 이후 수많은 패러디, 오마주의 대상이 되었다.
- 앨범
- 조지 벤슨 - The Other Side of Abbey Road
- 영화
- 아이 엠 샘 - 횡단보도 건너는 장면
- 게임
- 엄마는 게임을 숨겼다 2 - 스테이지 26
- 드라마
- 미남이시네요 - 엔딩 크레딧
- 너희들은 포위됐다 - 횡단보도 건너는 장면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엔딩 크레딧
- 베터 콜 사울 - 사울과 세 대학생이 초등학교에서 광고를 찍기 전 횡단보도 건너는 장면
- 만화/애니메이션
- 괴짜가족 - 비틀즈 멤버들과 Abbey Road 앨범 자켓을 패러디한 에피소드가 있었다.
- 뚜식이 - 원름소년단 서적판에서 오마주 되었다.
- 더 무비 케이온 - 런던 여행이 배경인 만큼 진짜 애비 로드 횡단보도에서 시전한다.
- 이말년씨리즈 - 락스피릿 아파트 中편 표지.
-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 D City Rock의 We are Angels 뮤직비디오 중간에 패러디 되었다.
- 뮤직비디오
- 이매진 드래곤스 - On Top Of The World
- Rae Sremmurd - Black Beatles
- WORLD ORDER - INFORMAL EMPIRE
- 기타
- 2012년 런던 올림픽의 프리뷰 영상에서도 애비 로드로 보이는 장면이 나왔다.
- 신만이 아는 세계에서도 패러디 했다.
- 일본 미스터리 추리소설 밀실살인게임 왕수비차잡기의 한국판 표지.
- 보이그룹 One Direction도 2014년에 따라서 했다.#
한국 음악팬들 사이에선 간혹 킹 크림슨의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 앨범이 Abbey Road의 빌보트 앨범 차트 1위 독주를 끝내버렸다는 루머가 떠도는데, 이는 사실과는 다르다. 실제로는 Crimson King 음반은 1위를 하지 못했다. 1969년 12월 말까지 8주 연속으로 Abbey Road가 계속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에 있다가 이후 한 달 동안 Led Zeppelin II와 순위 다툼을 하다가 총 11주간의 1위를 끝으로 차차 순위권에서 밀려났다. 즉 이것도 사실 1위를 할 만큼 하고 내려갈 때가 돼서 내려간 것.
[1] 영국 현지 발매 버전 기준으로, 미국에서는 1969년 10월 1일에 발매되었다.[2] 발매는 Let It Be가 더 나중이지만, 녹음은 애비 로드가 더 늦은 시점에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Let It Be 수록곡 중 I Me Mine은 애비 로드 발표 이후인 1970년 1월에 녹음되었다. 세션 당시 존 레논은 아내 오노 요코와 함께 덴마크로 휴가를 떠나 있었기 때문에 나머지 세 멤버들만이 참여하였다. 네 멤버가 모두 참여한 마지막 곡은 애비 로드의 'The End'. 여담으로 존 레논은 이 덴마크 휴가에서 자신의 솔로 곡 'Instant Karma!'의 영감을 얻는다.[3] 최종 발매 시에는 Let It Be라는 이름으로 발매.[4] 비틀즈를 비롯한 대부분의 6,70년대 록 명반들의 순위가 내려갔고, 대신 흑인음악 및 90년대 이후 음악의 순위를 대폭 올리는 세대교체성 순위 조정을 시행했다.[5] 1위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6] 참고로 2위 역시 애비 로드에 수록된 Come Together.[7] 이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비틀즈의 정규 앨범 입문으로 Rubber Soul과 함께 이 앨범을 추천한다.[8] 코로나-19 사태로 2021년 11월 25일로 연기되었다.[9]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리암은 비틀즈, 특히 존 레논의 열렬한 팬이다.[10] 주로 'Golden Slumbers 메들리'로 불린다. 폴 매카트니는 실제로 라이브에서 이 3곡을 연달아 공연한다.[11] 곡들의 믹스가 다르고 Her Majesty가 Mean Mr. Mustard와 Polythene Pam 사이에 위치해 있는 초기 버전이다.[12] 'You Never Give Me Your Money'를 메들리의 첫 곡으로 보는 경우도 있고 'Sun King'을 메들리의 시작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50주년 기념 앨범 서문에서 폴 매카트니는 자신의 곡인 'You Never Give Me Your Money'를 메들리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13] 원래 메들리에 어울리지 않아 이 곡을 빼려 했으나, 음반 회사의 사정으로 뺄 수가 없었다. 결국 맨 뒤에 숨겨놓는 것으로 양측 모두 만족했다.[14] 다만 'Mean Mr. Mustard'와 'Polythene Pam'은 남매에 대한 얘기로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15] '결국 당신이 받을 사랑은 당신이 만든 사랑과 같아요'[16] Maxwell's Silver Hammer에서 확인할 수 있다.[17] 스튜디오 버전에서는 링고 스타가 초반부에 모루를 망치로 치고 있다.[18] Let It Be 다큐멘터리를 보면 말 에반스가 Silver Hammer에서 드럼 연주하고 있는 링고를 대신해서 쳤다.[19] 비틀즈의 공식적인 해체 발표는 1970년 4월 10일이지만, 밴드 멤버 네 명이 마지막으로 모인 건 1969년 8월이었다. 이후 1980년에 존이 살해당하기 전까지 넷이 한꺼번에 모이는 일이 더 이상 없었다. 즉, 밴드 해체 직전의 상황이라 할 수 있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가 서로를 마주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지 상상해 보는 것이 사진의 감상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사실 험악해보이는 분위기와 다르게 다른 사진을 보면 웃으면서 잡담을 나누고 있다. 애비 로드를 마무리할 당시에는 멤버들 모두 "이제 끝이 왔구나"라고 생각해 꽤나 허심탄회한 분위기였고, The Beatles 앨범과 Let It Be 앨범 녹음시와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였다.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의 관계가 본격적으로 악화된 것은, 1970년 12월 31일 폴이 나머지 세 멤버와 애플을 상대로 물적 분할 소송을 걸면서부터였다.[20] 이탈리아 장례 풍습이라고 한다. 후일 밝혀진 바로는 그냥 더워서 그랬다고. 사실 완전 맨발은 아니고 슬리퍼를 신고 있었다고 한다. 하기야 한여름의 아스팔트를 진짜로 아무것도 안 신고 걸었다면 시원해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발바닥에 화상을 입었을 거다.[21] 존 레논은 폴이 어떻게든 튀어보이려고 신발을 벗은 거라 깠지만, 폴 매카트니 曰 자기야말로 튀어보이려고 흰 옷을 입은 거라며 서로 깠다. 참고로 그 말을 들은 존의 답변이 더 압권, "그래서 맨발한테 밀렸잖아"[22] 2022년 기준 구글지도 스트리트맵에 애비 로드 횡단보도를 보면 인증샷 찍으려는 관광객들로 가득하다.[23] 노브레인이 분한 극중 밴드인 이스트 리버가 최곤을 쫒아가다가 횡단보도가 나오자 왠지 발을 맞춰 걸으려고 한다.[24] 삭제 장면.[25] [26] 참고로 울펜슈타인 세계관에서는 비틀즈를 패러디한 '디캐퍼'(Die Käfer)라는 밴드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Mond, Mond, Ja, Ja 참고.[27] 의도적으로 패러디/오마쥬한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광고 중간에 멤버들이 원판과 상당히 흡사한 구도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장면이 나온다. 원판과 다른 점은 왼손을 들고 건넌다는 것. 그리고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앨범에 조지 해리슨의 곡 'Something'이 있는데 우연히도 걸스데이가 2014년 초에 발표한 히트곡 제목도 'Something'이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