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최근 수정 시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조광래호/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문서 참고하십시오.
|
조별리그 | ||
결선 토너먼트 |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 ||
AFC Asian Cup Qatar 2011™ 2011 كأس آسيا | ||
대회 기간 | ||
개최국 | ||
마스코트 | 사부그 (Saboog), 트므브키 (Tmbki), 프레하 (Freha), 즈크리티 (Zkriti), 트라나 (Tranaa) | |
주제가 | Yalla Asia | |
공인구 | 토탈 90 트레이서 (Total 90 Tracer) | |
본선 진출팀 | 16개팀 | |
대회 결과 | ||
우승 | ||
준우승 | ||
3위 | ||
4위 | ||
수상 | ||
MVP | ||
득점왕 | ||
페어플레이상 | ||
이전·이후 대회 | ||
2011년 카타르 |
AFC의 동서 순환 개최 방침에 따라 본대회는 서아시아(WAFF), 중앙-남아시아(CAFF&SAFF)에서 개최가 가능했는데 그에 따라 이란(WAFF), 인도(CAFF&SAFF), 카타르(WAFF)가 유치 의향을 밝혔다. 그러나 인도가 도중에 유치 계획을 철회하고 이란은 제시간에 필요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 카타르가 단독 후보로 개최하게 되었다.
카타르 입장에선 1988년 카타르 아시안컵에 이은 두 번째 개최이며, 지역의 기후 특성상 개최 시점을 여름인 7월이 아닌 겨울인 1월로 선택하였다.[1]
카타르 입장에선 1988년 카타르 아시안컵에 이은 두 번째 개최이며, 지역의 기후 특성상 개최 시점을 여름인 7월이 아닌 겨울인 1월로 선택하였다.[1]
도시 | 경기장 이름 | 수용 인원 |
40,000명 | ||
21,282명 | ||
21,175명 | ||
12,946명 | ||
13,000명 |
개최국 대표팀과 지난 대회 3위 이내 팀은 예선이 면제되어 본선 자동 진출권을 획득하게 되며 또한 2년 주기로 개최되는 AFC 챌린지컵[2]의 직전 두 개 대회의 우승팀들도 자동 진출권을 획득하게 된다. 만약 직전 두 개 챌린지컵 대회의 우승팀이 동일하다면 최근 대회에서 준우승한 팀에 자동 진출권이 부여된다. 이렇게 총 6개팀이 예선이 면제되어 자동 진출권을 획득하게 된다.
6개팀을 제외하고 치러지는 아시안컵 예선은 예선 참가를 접수한 팀들 중 피파 랭킹이 낮은 팀끼리 1차 예선을 벌여 20개팀을 맞춘다. 이후 4개팀 5개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을 치른 후 상위 2개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이렇게 예선 면제팀 6개팀과 예선 통과팀 10개팀, 총 16개팀의 본선 진출팀이 가려진다.
본선에선 개최국 대표팀과 전대회 3위 이내 입상팀이 시드(1포트)를 배정받게 되고 나머지는 전대회 성적에 따라 포트가 배정된다. 각 포트에서 한 팀씩 추첨되어 4팀이 한 조를 이루게 되고 한 팀당 세 경기를 치르는 조별 리그 후 각 조 1위, 2위가 8강에 진출하여 이때부터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3위·4위전이 따로 치러진다.
2011년 1월 7일 카타르와 우즈베키스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결승전인 2011년 1월 29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된다.
6개팀을 제외하고 치러지는 아시안컵 예선은 예선 참가를 접수한 팀들 중 피파 랭킹이 낮은 팀끼리 1차 예선을 벌여 20개팀을 맞춘다. 이후 4개팀 5개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리그전을 치른 후 상위 2개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이렇게 예선 면제팀 6개팀과 예선 통과팀 10개팀, 총 16개팀의 본선 진출팀이 가려진다.
본선에선 개최국 대표팀과 전대회 3위 이내 입상팀이 시드(1포트)를 배정받게 되고 나머지는 전대회 성적에 따라 포트가 배정된다. 각 포트에서 한 팀씩 추첨되어 4팀이 한 조를 이루게 되고 한 팀당 세 경기를 치르는 조별 리그 후 각 조 1위, 2위가 8강에 진출하여 이때부터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3위·4위전이 따로 치러진다.
2011년 1월 7일 카타르와 우즈베키스탄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결승전인 2011년 1월 29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된다.
국가명 | 진출 자격 | 진출 자격 획득일 | 진출횟수 | 최근 진출 | 최고성적 | FIFA 랭킹[3] | |
개최국 | 2007년 7월 29일 | 8회 | 96위 | ||||
직전 대회 우승 | 2007년 7월 25일 | 7회 | 우승 [IRQ] | 81위 | |||
직전 대회 준우승 | 2007년 7월 25일 | 8회 | 우승 [KSA] | 66위 | |||
직전 대회 3위 | 2007년 7월 28일 | 12회 | 우승 [KOR] | 47위 | |||
2008년 8월 13일 | 3회 | 준우승 [IND] | 133위 | ||||
2010년 2월 27일 | 3회 | 4위 [PRK] | 106위 | ||||
예선 A조 1위 | 2010년 1월 6일 | 7회 | 우승 [JPN] | 43위 | |||
예선 B조 1위 | 2010년 3월 3일 | 2회 | 20위 | ||||
예선 C조 1위 | 2010년 1월 6일 | 8회 | 준우승 [UAE] | 100위 | |||
예선 D조 1위 | 2009년 11월 18일 | 5회 | 98위 | ||||
예선 E조 1위 | 2010년 1월 6일 | 12회 | 우승 [IRN] | 60위 | |||
예선 A조 2위 | 2010년 1월 6일 | 4회 | 4위 [BHR] | 69위 | |||
예선 B조 2위 | 2010년 3월 3일 | 9회 | 우승 [KUW] | 39위 | |||
예선 C조 2위 | 2009년 11월 18일 | 5회 | 93위 | ||||
예선 D조 2위 | 2010년 1월 6일 | 10회 | 준우승 [CHN] | 84위 | |||
예선 E조 2위 | 2010년 3월 3일 | 2회 | 103위 |
- 2010년 3월 3일(이하 현지시각) 진출팀 16개팀이 모두 가려졌다. 지역연맹별로는 WAFF(서아시아)가 9개팀으로 전체의 반을 넘어섰으며 EAFF(동아시아)에서는 4개팀이 진출, 그 외에는 CAFF&SAFF(중앙-남아시아)에서 우즈베키스탄, 인도의 2개팀, AFF(동남아시아)에서 호주가 유일하게 진출하였다.
-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 진출 10개팀(A조 : 바레인-호주-우즈베키스탄-일본-카타르, B조 : 대한민국-북한-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이란)은 모두 진출에 성공하였다.
- 2010년 2월 기준 FIFA 랭킹의 AFC 권역 내 순위의 상위 16개팀 중 오만(12위), 태국(13위)이 진출에 실패하였고 이들의 자리는 아랍에미리트(19위), 인도(23위)가 대체하였다. 즉 진출할 만한 팀은 모두 진출하고 이변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첫 출전국이 없다는 점과 축구 인기가 많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참가팀이 하나도 없다는 게 아쉬운 점이다.[25]
1포트 | 2포트 | 3포트 | 4포트 |
카타르 | 일본 | 중국 | 시리아 |
이라크 | 호주 | 아랍에미리트 | 쿠웨이트 |
사우디아라비아 | 이란 | 바레인 | 인도 |
대한민국 | 우즈베키스탄 | 요르단 | 북한 |
2010년 4월 22일에 시딩이 발표되었고 개최국 대표팀과 전 대회 3위 이상 팀을 탑시드에 배정하는 규칙에 따라 대한민국은 예상대로 탑시드를 부여받았다. 조 편성 방식에 따라 각 포트마다 한 팀씩 추첨되어 4팀이 한 조를 이루게 된다.
A조 | B조 | C조 | D조 |
카타르 | 사우디아라비아 | 대한민국 | 이라크 |
쿠웨이트 | 일본 | 인도 | 북한 |
중국 | 요르단 | 호주 | 아랍에미리트 |
우즈베키스탄 | 시리아 | 바레인 | 이란 |
2010년 4월 23일 행해진 조 추첨에서 대한민국은 전체적으로 무난한 조 편성을 배정받았다. 아시아 최강의 위치에 있지만 중동에선 유독 약한 모습을 보이는 호주, 대한민국 킬러인 밀란 마찰라 전 감독이 아시안컵에서도 지휘를 맡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레인, 그리고 동네북이 유력한 인도와 한 조를 이루었다. A조는 혼돈의 양상이라 누가 올라갈지 예상하기 힘들며 B조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일본이 유력, D조는 공교롭게도 부시가 지정한 악의 축 3개 국가의 대표팀이 모두 모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참가팀 정보 문서 참고하십시오.
아시안컵에서 왕의 귀환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최정예 멤버를 동원하여 51년 만에 정상 탈환을 노린 대한민국의 이야기. 결과부터 말하자면 무패탈락했다.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대한민국 참조.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대한민국 참조.
순위 | A조 | 승점 | B조 | 승점 | C조 | 승점 | D조 | 승점 |
1위 | 우즈베키스탄 | 7 | 일본 | 7 | 호주 | 7 | 이란 | 9 |
2위 | 카타르 | 6 | 요르단 | 7 | 대한민국 | 7 | 이라크 | 6 |
3위 | 중국 | 4 | 시리아 | 3 | 바레인 | 3 | 북한 | 1 |
4위 | 쿠웨이트 | 0 | 사우디아라비아 | 0 | 인도 | 0 | 아랍에미리트 | 1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경기 | 대진표 |
A | 8강 1경기 우즈베키스탄 2:1 요르단 | E | 4강 1경기 우즈베키스탄 0:6 호주 | G | 결승 호주 0:1 일본 |
B | 8강 2경기 호주 1:0 이라크 | ||||
- | |||||
C | 8강 3경기 일본 3:2 카타르 | F | 4강 2경기 일본 2:2(3:0) 대한민국 | ||
D | 8강 4경기 이란 0:1 대한민국 | H | 3위·4위전 우즈베키스탄 2:3 대한민국 |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 우승 |
일본 |
4번째 우승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 | 승점 | 비고 |
1 | 일본 | 6 | 4 | 2 | 0 | 14 | 6 | +8 | 14 | 우승 |
2 | 호주 | 6 | 4 | 1 | 1 | 13 | 2 | +11 | 13 | 준우승 |
3 | 대한민국 | 6 | 4 | 2 | 0 | 13 | 7 | +6 | 14 | 3위 |
4 | 우즈베키스탄 | 6 | 3 | 1 | 2 | 10 | 13 | -3 | 10 | 4위 |
5 | 이란 | 4 | 3 | 0 | 1 | 6 | 2 | +4 | 9 | 8강 |
6 | 요르단 | 4 | 2 | 1 | 1 | 5 | 4 | +1 | 7 | 8강 |
7 | 카타르 | 4 | 2 | 0 | 2 | 7 | 5 | +2 | 6 | 8강 |
8 | 이라크 | 4 | 2 | 0 | 2 | 3 | 3 | 0 | 6 | 8강 |
9 | 중국 | 3 | 1 | 1 | 1 | 4 | 4 | 0 | 4 | 1라운드 |
10 | 바레인 | 3 | 1 | 0 | 2 | 6 | 5 | +1 | 3 | 1라운드 |
11 | 시리아 | 3 | 1 | 0 | 2 | 4 | 5 | -1 | 3 | 1라운드 |
12 | 북한 | 3 | 0 | 1 | 2 | 0 | 2 | -2 | 1 | 1라운드 |
13 | 아랍에미리트 | 3 | 0 | 1 | 2 | 0 | 4 | -4 | 1 | 1라운드 |
14 | 쿠웨이트 | 3 | 0 | 0 | 3 | 1 | 7 | -6 | 0 | 1라운드 |
15 | 사우디아라비아 | 3 | 0 | 0 | 3 | 1 | 8 | -7 | 0 | 1라운드 |
16 | 인도 | 3 | 0 | 0 | 3 | 3 | 13 | -10 | 0 | 1라운드 |
- 개최국인 카타르는 2022년에 월드컵도 개최하게 되었다.
사실은 돈지랄로 얻은 월드컵.이번 아시안컵은 월드컵 개최국 대표팀의 역량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이다. 한국 팀의 경기 결과는 물론, 카타르의 능력에도 주시해야 할 것이다.
- 카타르에서 이번 대회에 사용하는 경기장은 2개 도시 5개 경기장[27]으로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알라이얀, 수용인원 5만 명)을 제외하면 대부분 수용인원 2만명 내외에 불과하며 8개 경기장 이상은 기본으로 쓰는 UEFA 유로 대회에 비하면 규모가 한참 작은 편이다. 그래도 역대 아시안컵 중 2007년 대회(8경기장)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경기장을 쓰며 참가팀이 10개팀이었던 1984년 대회조차 경기장을 오직 하나만 쓴 적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많이 발전한 셈이다.
- 대회 시작 전, 해외 베팅 사이트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레드브록스는 대한민국의 우승 배당률을 5.00배로 일본(4.00배)에 이어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2위로 책정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이 10.00배로 뒤를 이었고 카타르가 13.00배로 6위. 기타 베팅 사이트도 대체로 대한민국의 우승 배당률을 2위로 책정했다. 그리고 배당률이 가장 높은 팀(즉, 우승 가능성이 가장 낮게 책정된 팀)은 인도이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3전 전패 굴욕이 회자된다. 2011 AFC 아시안컵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참조.
- 다음 대회 개최국 대표팀인 호주가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3위 안에 들어가는 팀에게 주어지는 자동 출전권이 4위를 차지한 팀에게 승계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일단 규정상으로는 무조건 3위 안에 들어가는 팀만 다음 대회 자동 진출이고, 이 경우 남은 1장의 티켓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느냐 등의 문제도 있어서 아직 지켜봐야 할 단계이다. 관련 기사. 결국, 2015년 호주 아시안컵에서 4위인 우즈베키스탄에게 자동 출전권이 주어지지 않고, 5개조로 이루어진 지역 예선에서 가장 성적이 좋은 3위에게 출전권이 주어졌고, 중국이 이를 따내서 2015년 호주 아시안컵에 출전하게 되었다.
- 재일교포 4세 리 타다나리의 결승골로 일본이 우승하자, U-19 대한민국 청소년 대표팀에 선발되었지만 결국 일본 국대로 귀화할 수 밖에 없었던 리 타다나리의 사정을 알게 된 누리꾼들에 의해, 말로만 다문화 사회를 외치면서 다문화 가정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대한민국 사회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을 제쳐두고 따져보면 대한민국은 이미 충분히 국가대표팀에 발탁될 만한 스트라이커들이 많이 있다. 사실 리 타다나리에 대한 의견이 뜨겁게 올라온 것은 결승전에서 골을 넣었단 이유 하나인데 아무래도 그 전에 조별리그 1차전에 나왔을 때는 기억나지도 않나 보다. 물론 저런 좋은 포워드를 놓쳤다는 사실은 두고두고 까일 만 하지만 정작 스트라이커가 필요한 대표팀은 대한민국이 아니라 일본이다.[29] 리 타다나리만한 스트라이커 자원이 국내에 없어서 까는게 아니라,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라났으며 한국말도 못하는 선수가 U-19 대표도 할만큼 고국에 대한 애착도 있으면서 왜 귀화를 택하게 됐는지, 그 동기에 대해 까는 것이다.
- 이 대회부터 선수단의 등번호는 1번부터 23번까지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 전 대회인 2007년 아시안컵까지는 등번호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아시안컵 3.4위전을 치른 마지막 대회였다. 다음 대회인 2015년엔 결승에 진출했고, 그 이후로는 아시안컵 3.4위전이 폐지됐기 때문이다.
[1] 이후 호주와 아랍에미리트도 1월로 개최 시점을 정했다. 단, 호주는 남반구라 오히려 1월이 여름이었으나, 중동 국가들과 달리 크게 덥지는 않았다.[2] AFC에서 축구 변방팀들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피파 랭킹 하위권 팀들이 참여하여 겨루도록 한 대회이다. 2006년에 첫 대회가 열렸으며 격년 개최로 2010년 대회까지 세 번의 대회가 열렸다.[3] 2010년 4월 FIFA 랭킹.[4] 2000 아시안컵 8강 8위, 이 때까지 카타르의 아시안컵 최고 순위는 5위 1984 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 1988 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QAT] 2000[IRQ] 2007[KSA] 1984, 1988, 1996[KOR] 1956, 1960[IND] 1964[PRK] 1980[JPN] 1992, 2000, 2004[12] 8강 7위[AUS] 2007[UAE] 1996[15] 80 아시안컵 5위(10강 조별리그)[SYR] 1980, 1984, 1988, 1996[IRN] 1968, 1972, 1976[BHR] 2004[KUW] 1980[20] 2004아시안컵 8강 5위, 2007아시안컵 8강 6위[UZB] 2004, 2007[CHN] 1984, 2004[23] 8강 7위[JOR] 2004[25] AFF(동남아시아)의 회원국인 호주는 지리적으로 동남아시아에 절대 포함될 수 없는 곳이고 AFF 내에서도 정식 회원이 아닌 초청팀 지위로 지역연맹 주관대회인 아세안컵 역시 청소년부에 초청팀 자격으로 참여해도 성인부에는 참여하지 않는 등 다른 회원들과는 괴리감이 크다.[16강] [27] 도하에 4경기장, 알라이얀에 1경기장이 배정되었다.[28] 이 시기 일본은 트루시에 체제하 최전성기였다.[29] 하지만 4년 후인 2015 호주 아시안컵에서 슈틸리케호가 공격자원 부상으로 인한 엔트리 탈락(이동국, 김신욱 차출 무산, 이청용 부상으로 대회 아웃 등), 부족 등으로 위기에 처하게 된 걸 감안하면(슈틸리케호 항목 참고) 좋은 포워드를 놓친 게 두고두고 아쉬울 것이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