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ناموويکي، د پوهې ونه چې تاسو یې کښت کوئ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한국어에 없는 발음의 문자는 ☪ 표시
어말형 | 어중형 | 어두형 | 독립형 | 발음 | 명칭 |
ـا | ـاـ | اـ | ا | [ɑ] | 알레프☪ 또는 알리프☪ |
ـب | ـبـ | بـ | ب | [b] | 베 |
ـت | ـتـ | تـ | ت | [t̪] | 테☪ |
ـټ | ـټـ | ټـ | ټ | [ʈ] | 테☪ |
ـث | ـثـ | ثـ | ث | [s] | 세 |
ـج | ـجـ | جـ | ج | [d͡ʒ] | 짐☪ |
ـچ | ـچـ | چـ | چ | [t͡ʃ] | 체☪ |
ـح | ـحـ | حـ | ح | [h] | 헤 |
ـخ | ـخـ | خـ | خ | [x] | 헤☪ |
ـڅ | ـڅـ | څـ | څ | [t͡s] / [s] | 체☪ / 세 |
ـځ | ـځـ | ځـ | ځ | [d͡z] / [z] | 짐☪ / 짐☪ |
ـد | ـدـ | دـ | د | [d̪] | 달☪ |
ـډ | ـډـ | ډـ | ډ | [ɖ] | 달☪ |
ـذ | ـذـ | ذـ | ذ | [z] | 잘☪ |
ـر | ـرـ | رـ | ر | [r] | 레☪ |
ـړ | ـړـ | ړـ | ړ | [ɽ] | 레☪ |
ـز | ـزـ | زـ | ز | [z] | 제☪ |
ـژ | ـژـ | ژـ | ژ | [ʒ] / [d͡z] | 줴☪ / 제☪ |
ـږ | ـږـ | ږـ | ږ | ||
ـس | ـسـ | سـ | س | [s] | 씬 |
ـش | ـشـ | شـ | ش | [ʃ] / [t͡s] | 쉰☪ / 친☪ |
ـښ | ـښـ | ښـ | ښ | ||
ـص | ـصـ | صـ | ص | [s] | 쏴드 |
ـض | ـضـ | ضـ | ض | [z] | 좌드☪ |
ـط | ـطـ | طـ | ط | [t] | 퉤 |
ـظ | ـظـ | ظـ | ظ | [z] | 줴☪ |
ـع | ـعـ | عـ | ع | [ɑ] | 아인☪ |
ـغ | ـغـ | غـ | غ | [ɣ] | 가인☪ |
ـف | ـفـ | فـ | ف | [f] / [p] | 페☪ / 페 |
ـق | ـقـ | قـ | ق | [q] / [k] | 까프☪ / 카프 |
ـک | ـکـ | کـ | ک | [k] | 카프 |
ـګ | ـګـ | ګـ | ګ | [ɡ] | 가프 |
ـل | ـلـ | لـ | ل | [l] | 람 |
ـم | ـمـ | مـ | م | [m] | 밈 |
ـن | ـنـ | نـ | ن | [n] | 눈 |
ـڼ | ـڼـ | ڼـ | ڼ | [ɳ] | 뉸☪ |
ـں | ـنـ | نـ | ں | [ ̃](모음 비음화) | 눈 포자 |
ـو | ـوـ | وـ | و | [w], [u], [o] | 와우 |
ـه | ـهـ | هـ | ه | [h], [a][어말에서] | 권다 헤 |
ـۀ | ۀ | [ə] | 카지라 헤☪ | ||
ـي | ـيـ | يـ | ي | [j], [i] | 처르간다 예 |
ـې | ـېـ | ېـ | ې | [e] | 우그다 예 |
ـی, ـے | - | - | ی, ے | [ai], [j] | 나리나 예 또는 워차 예 |
ـۍ | - | - | ۍ | [əi] | 허지나 예☪ 또는 라커이 예☪ |
ـئ | ـئـ | ئـ | ئ | [əi], [j] | 팔리 예☪ |
어순은 다른 인도이란어파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말처럼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띄고 있다.
명사는 남성/여성의 두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격·사격(斜格)·탈격·호격의 네 가지 격이 존재한다.
명사는 남성/여성의 두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주격·사격(斜格)·탈격·호격의 네 가지 격이 존재한다.
페르시아어와 가까운 언어이지만, 문법적인 면에선 페르시아어와 달라서 페르시아어 화자와는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진 않는다. 오히려 인도의 소수민족 언어나 우르두어에 가깝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에 알려진 파슈토어 단어로는 탈리반이 있다. 탈리반은 '학생들'을 의미한다. 원형이 되는 표현인 탈리브(طَالِب / Ṭālib)는 아랍어에서 온 것이지만, 아랍어에서 이 단어의 복수형은 툴라브(طُلَّاب / Ṭullāb)이고, 탈리반(طالبان / Ṭālibān)은 복수 접미사 '안(ان / -ān)'이 붙은 페르시아어나 파슈토어식 복수형태이다.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매우 힘든 언어이지만,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 중의 하나다.
한국에 알려진 파슈토어 단어로는 탈리반이 있다. 탈리반은 '학생들'을 의미한다. 원형이 되는 표현인 탈리브(طَالِب / Ṭālib)는 아랍어에서 온 것이지만, 아랍어에서 이 단어의 복수형은 툴라브(طُلَّاب / Ṭullāb)이고, 탈리반(طالبان / Ṭālibān)은 복수 접미사 '안(ان / -ān)'이 붙은 페르시아어나 파슈토어식 복수형태이다.
한국에서는 배우기가 매우 힘든 언어이지만,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 중의 하나다.
- 샘물교회 선교단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건을 주요 소재로 하기 때문에, 아프간이 극중 주요 배경인 한국 영화 교섭에서 이 언어 구사 장면이 많다. 강기영이 연기한 극중인물 이봉한[21]이 유일한 파슈토어 통역자로 나온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