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총배설강
총배설강 - 나무위키

총배설강

최근 수정 시각:
분류
[ 펼치기 · 접기 ]
사람 및 동물
남성(수컷)의 성기
여성(암컷)의 성기
음문 (음렬 · 대음순 · 소음순 · 음핵) · · 나팔관 · 자궁 · 난소 · 난황샘 · 난형성강 · 산란관 · 난자() · 월경 · G스팟 · 자궁경부
식물 및 균류
· 꽃잎 · 수술(꽃밥 · 수술대 · 장정기) · 암술(심피 · 암술머리 · 암술대 · 씨방 · 밑씨 · 꽃받침 · 장란기) · 홀씨주머니(포자낭)
포자 · 버섯(자실체 · 버섯모)
체액 관련 문서 포함에 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 개요2. 총배설강이 있는 동물의 특징3. 매체

1. 개요[편집]


排泄腔
Cloaca
external/guineaf...
external/guineaf...
수컷(왼쪽)과 암컷(오른쪽) 닭의 생식기 구조 출처

포유류경골어류[1]에 해당되지 않는 동물과 포유류 중에서 단공류배설기관이자 생식 기관. 요도, 항문, 짝짓기를 할 때 정자를 보내는 기관이나 이 같이 있으며, 총배설강을 가진 동물의 자손은 에서 태어난다.

단공류를 제외한 포유류들은 알을 낳는 대신 자손이 어미의 몸 속에서 어느 정도 자란 뒤 태어나며 을 먹여서 기르지만 총배설강이 있는 동물은 자손이 어미가 낳은 속에서 어느 정도 자란 뒤 태어난다. 예외가 있다면 흉상어 계통의 일부 상어들로 태반탯줄까지 생기는 완전 태생동물들로 이들은 총배설강을 통해 새끼를 낳는다.

프시타코사우루스가 비조류 공룡 중에선 최초로 총배설강이 발견되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이 총배설강을 가진 대표적인 동물인데 이 닭이 배설 및 배출을 하는 경로로 교미를 하는 데서 따 와 남성들끼리 항문성교하는 것을 멸칭으로 계간(鷄姦)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한때 그 멸칭이 군형법상 추행죄와 관련하여 법률 용어로 쓰인 적이 있었다.

관련 직종이 아닌 이상 해당하는 사실을 잘 모르기 때문에 알고나서 달걀종류를 못 먹게 되었다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2. 총배설강이 있는 동물의 특징[편집]

  • 암컷에게는 자궁 대신에 껍질샘(Shell gland, 난자나 수정란(유정란)의 표면에 알껍질을 만들어서 알로 만드는 곳)이 있거나 자궁이 있다고 해도 자궁은 껍질샘처럼 알껍질을 만드는 곳이거나 알에서 자손이 태어나는 곳[2]이다.
  • 이 기관을 가지고 있는 생물은 어류 중에서 연골어류육기어강, 석형류, 단공류로 대부분이 난생이다. 그러나 일부 종들은 을 부화시킨 후 새끼로 낳는 난태생으로 번식을 하기도 하며, 상술하듯 완전 태생으로 번식하는 종도 소수지만 있다.
  • 색은 대체로 핑크색 혹은 선홍색이다. 특히 몇몇 파충류나 다수의 조류가 배변하거나 산란하는 영상을 보면 나온다.

3. 매체[편집]

이종족이 나오는 작품이라면 주로 난생을 하는 이종족의 생식 기관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1] 대부분의 경골어류는 총배설강과는 달리 비뇨기관이자 생식기관인 비뇨생식공이 항문과 분리되어 있다.[2] 정확히 말하면 알이 어미의 몸속에 있는 상태에서 부화해서 자손이 태어나는 것인데, 이것을 난태생이라 부른다. 태반이 없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