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정숙첨
정숙첨 - 나무위키

정숙첨

최근 수정 시각: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효우(孝友)」
122권
133·134·135·136·137권

鄭叔瞻
(생몰년 미상)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고려 중기의 문신.

정세유의 아들이자 정진의 동생. 최씨 무신정권의 초대 집권자인 최충헌의 사돈인 동시에 최우의 장인이다. 정숙첨의 딸인 정씨 부인과 최우의 사이에서는 딸인 최씨 부인이 태어났고 후에 김약선에게 시집갔다. 아들 정안이 있다.

2. 생애[편집]

1206년에 좌승선을 지내면서 책명 의식을 거행할 장소를 논의하기 위해 금나라의 사신에게 파견되었고, 여러 차례 승진해 추밀원지주사가 되었으며, 고종 초에는 참지정사가 되었다. 대요수국의 난 당시 행영중군원수에 임명되어 토벌군 총사로서 대군을 인솔하여 출정했으나, 군사들이 달아나고 명령이 시행되지 않아 부대에 기강과 군율이 없어서 사람들이 모두 원망했다.[1]

개경에서 일어난 승려들의 반란과 연계되었다는 혐의를 받아 송환되었으며, 1211년에 희종이 최충헌을 죽이려 했고, 김약진과 함께 중방에 있다고 사태가 급하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궁궐로 들어가 최충헌을 데리고 나갔다.

최우를 사위로 삼고서는 세력을 믿고 교만하게 굴어 최충헌을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가[2] 최충헌이 죽이려 했지만, 최우가 힘써 구해준 덕에 하동으로 유배되었다가 이후 최우가 집권하자 풀려나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

그의 형인 정진이 윤세유와 사이가 나빠서 윤세유로부터 정진과 함께 역모를 꾸민다는 무고를 받기도 했지만, 도리어 최충헌이 윤세유를 붙잡아 국문했다.

3. 대중매체[편집]

  • <무신> - 정숙첨 (정욱 분)
  • 소설 《항몽전쟁, 그 상세한 기록》에서는 거란 유족의 침공 때, 자신에게 출전 임무를 부여한 최충헌에게 불만[3]을 토로하는 설정이 나온다.

[1] 이는 최충헌의 탓이 컸다. 용맹한 사람들은 모두 최충헌의 사병들이었고, 나가 싸우겠다고 하면 모두 귀양보냈기 때문. 군대에 동원된 사람들은 모두 어린이, 노약자들이었다.[2] 《항몽전쟁, 그 상세한 기록》이라는 책에서는 정숙첨이 최충헌 자신이 외적을 끌어들여 놓고 자기보고 적을 막으라고 했다면서 불평했다고 나왔다.[3] 최충헌은 변경의 급보를 전한 자를 오히려 귀양보내고 또 용맹한 사람들은 모두 최충헌의 가병들인 데다가 전선에 나선 사람들은 어린이와 노약자였고, 또 나가 싸우겠다고 한 자들을 최충헌이 귀양 보내었던 상황을 병사들에게 토로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