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당시 존재했던 공산주의 단체에 대한 내용은 정우회(1926) 문서 참고하십시오.
|
입헌정우회 立憲󠄁政友會 | |
창당일 | |
해산일 | |
스펙트럼 | |
이념 | |
주요 정치인 | |
전신 | 자유당(일부)[2], 헌정당, 제국당(일부) |
후신 |
1900년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 창당되었고, 다수의 총리를 배출하여 제국주의 일본 시절 근대 정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정당이지만, '당'이 아닌 정우회라는 명칭으로 조직된 점에서 알 수 있듯,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한 메이지 유신 당시 우두머리들의 번벌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사실도 시사한다.[5]
이후 하라 다카시 등의 지도 하에 메이지 시대 말기의 헌정운동을 주도하며 급속도로 세력을 얻었으며, 11대 총선에서 다수당의 지위를 차지하면서 원로들의 아성을 위협하는 권력을 얻었다. 강력한 반원로 운동을 전개하며 정당에 호의적인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와 연합하였고, 다이쇼 정변으로 2차 사이온지 내각을 무너뜨린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맞서 3차 가쓰라 다로 내각을 무너뜨렸다.[6] 이후 출범한 1차 야마모토 곤노효에 내각과 연합하여 반원로 정책을 전개했으나 지멘스 사건[7]으로 야마모토 내각이 궁지에 몰리자, 다수당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당내각을 조직할 수 있다고 여겨 야마모토 내각 지지를 철회했다.
하지만 정우회에게 권력을 넘겨줄 수 없다고 여긴 원로들이 오쿠마 시게노부와 입헌동지회에게 권력을 맡김으로써 2차 오쿠마 내각이 조직되었다. 대중적인 인기가 높았던 오쿠마는 1915년 12대 총선에서 정우회를 완패시키고 다수당의 자리를 차지하는 데 성공하여 정우회의 세력이 크게 축소되었다.
하지만 오쿠마 내각과 야마가타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면서 야마가타와 하라 다카시의 연합이 이루어졌고, 하라는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을 지지하였다. 1918년 쌀 폭동으로 데라우치 내각이 붕괴되자 야마가타는 정당내각의 조직에 동의하였고, 하라가 최초로 평민 출신으로 총리가 되어 정우회가 마침내 정당내각을 조직했다. 하라는 혼란한 정국을 잘 수습하였거니와 과격한 노동운동도 단호히 진압하여 야마가타로부터 '하라는 정말 대단하다.'는 찬탄을 듣기도 하였으나 1921년에 암살당하였다. 그 뒤를 이어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정우회 내각을 이어나갔으나 그도 곧 사퇴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턴 헌정회 - 입헌민정당과 경쟁하며 정권을 여러 차례 교체하였으나 의석이 비슷한 경우가 많아 내각이 오래 가지는 못하는 편이었다. 1928년 16대 총선만 해도 정우회가 218석, 민정당이 216석, 기타 32석으로 팽팽했다. 그러다 1930년 17대 총선에선 174:273으로 민정당에게 1당을 크게 내주었으나, 1932년 18대 총선에서는 301:146으로 더 크게 설욕했다. 다시 4년 뒤인 1936년에는 175:205로 다시 민정당에 1당을 내주며 부진했으나, 불과 1년만인 1937년 치러진 20대 총선에서 정우175:민정179로 크게 따라 잡았다. 다만 이때쯤 가면 이미 정우회 출신 이누카이 쓰요시조차 육군 인사에게 살해당하는 등 일본 내각이 문민통제에 사실상 실패해 군부가 미쳐 날뛰던 시기라...
결국 1940년 7월 16일과 20일을 기해 당내 양대 파벌이 해체되고, 다른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해산과 함께 군부가 주도한 대정익찬회로 흡수되면서 그 생명력을 다하지만 내부 인사들은 전후 일본자유당 등으로 흘러갔다. 더 정확히는, 친군적, 혁신적 성향을 보이며 제3의 위치 비스무리한 성격을 띄던 나카지마 치쿠헤이(中島知久平)[8]가 이끌던 혁신파는 대정익찬회에 적극 참여하고는 전후에 전범 크리를 맞아 정계에서 영구 퇴출되었고, 전후에도 멀쩡히 살아남은 일부 혁신파와 혁신파&정통파 중 아무에도 속하지 않았던 통일파(중립파)는 전후에 마치다 추지 등 입헌민정당 출신 의원들과 손잡고 일본진보당을 결성했다.
반면 정통파의 경우 사정이 좀 복잡하다. 정통파를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끌던 하토야마파와 '광산왕' 쿠하라 후사노스케가 이끌던 쿠하라파로 나눌 수 있다. 비교적 친군적인 성격인 쿠하라파는 비록 전후에 단죄되지는 않았으나, 과거 친군부적이었음을 반성하는 의미로 일본의 전전 정당정치가 군부의 독재를 불러일으켰다면서 정당정치 반대를 내세워 무소속동지회를 창립했다. 반면 단호히 반군부적인 성향을 띄었고 이토 히로부미로부터 내려온 관료적, 문신적 전통을 지키고자 했던 하토야마파는 대정익찬회에서도 소외받았다. 그래서 결국 전후 일본자유당을 창당했누데, 이 자유당은 현 일본의 여당인 자유민주당의 전신이기도 하다. 즉, 본래 자민당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전범과 군부의 후예들의 정당과는 매우 거리가 멀었고, 오히려 군부에 반대하던 문민 정치인들의 후예들이 이끈 정당이었다. 물론 입헌정우회와는 연관이 없는 기시 노부스케와 그 후계자들 때문에 빛이 바랜 감은 있지만.[9]
이후 하라 다카시 등의 지도 하에 메이지 시대 말기의 헌정운동을 주도하며 급속도로 세력을 얻었으며, 11대 총선에서 다수당의 지위를 차지하면서 원로들의 아성을 위협하는 권력을 얻었다. 강력한 반원로 운동을 전개하며 정당에 호의적인 원로 사이온지 긴모치와 연합하였고, 다이쇼 정변으로 2차 사이온지 내각을 무너뜨린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맞서 3차 가쓰라 다로 내각을 무너뜨렸다.[6] 이후 출범한 1차 야마모토 곤노효에 내각과 연합하여 반원로 정책을 전개했으나 지멘스 사건[7]으로 야마모토 내각이 궁지에 몰리자, 다수당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당내각을 조직할 수 있다고 여겨 야마모토 내각 지지를 철회했다.
하지만 정우회에게 권력을 넘겨줄 수 없다고 여긴 원로들이 오쿠마 시게노부와 입헌동지회에게 권력을 맡김으로써 2차 오쿠마 내각이 조직되었다. 대중적인 인기가 높았던 오쿠마는 1915년 12대 총선에서 정우회를 완패시키고 다수당의 자리를 차지하는 데 성공하여 정우회의 세력이 크게 축소되었다.
하지만 오쿠마 내각과 야마가타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면서 야마가타와 하라 다카시의 연합이 이루어졌고, 하라는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을 지지하였다. 1918년 쌀 폭동으로 데라우치 내각이 붕괴되자 야마가타는 정당내각의 조직에 동의하였고, 하라가 최초로 평민 출신으로 총리가 되어 정우회가 마침내 정당내각을 조직했다. 하라는 혼란한 정국을 잘 수습하였거니와 과격한 노동운동도 단호히 진압하여 야마가타로부터 '하라는 정말 대단하다.'는 찬탄을 듣기도 하였으나 1921년에 암살당하였다. 그 뒤를 이어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정우회 내각을 이어나갔으나 그도 곧 사퇴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턴 헌정회 - 입헌민정당과 경쟁하며 정권을 여러 차례 교체하였으나 의석이 비슷한 경우가 많아 내각이 오래 가지는 못하는 편이었다. 1928년 16대 총선만 해도 정우회가 218석, 민정당이 216석, 기타 32석으로 팽팽했다. 그러다 1930년 17대 총선에선 174:273으로 민정당에게 1당을 크게 내주었으나, 1932년 18대 총선에서는 301:146으로 더 크게 설욕했다. 다시 4년 뒤인 1936년에는 175:205로 다시 민정당에 1당을 내주며 부진했으나, 불과 1년만인 1937년 치러진 20대 총선에서 정우175:민정179로 크게 따라 잡았다. 다만 이때쯤 가면 이미 정우회 출신 이누카이 쓰요시조차 육군 인사에게 살해당하는 등 일본 내각이 문민통제에 사실상 실패해 군부가 미쳐 날뛰던 시기라...
결국 1940년 7월 16일과 20일을 기해 당내 양대 파벌이 해체되고, 다른 정당들과 마찬가지로 해산과 함께 군부가 주도한 대정익찬회로 흡수되면서 그 생명력을 다하지만 내부 인사들은 전후 일본자유당 등으로 흘러갔다. 더 정확히는, 친군적, 혁신적 성향을 보이며 제3의 위치 비스무리한 성격을 띄던 나카지마 치쿠헤이(中島知久平)[8]가 이끌던 혁신파는 대정익찬회에 적극 참여하고는 전후에 전범 크리를 맞아 정계에서 영구 퇴출되었고, 전후에도 멀쩡히 살아남은 일부 혁신파와 혁신파&정통파 중 아무에도 속하지 않았던 통일파(중립파)는 전후에 마치다 추지 등 입헌민정당 출신 의원들과 손잡고 일본진보당을 결성했다.
반면 정통파의 경우 사정이 좀 복잡하다. 정통파를 하토야마 이치로가 이끌던 하토야마파와 '광산왕' 쿠하라 후사노스케가 이끌던 쿠하라파로 나눌 수 있다. 비교적 친군적인 성격인 쿠하라파는 비록 전후에 단죄되지는 않았으나, 과거 친군부적이었음을 반성하는 의미로 일본의 전전 정당정치가 군부의 독재를 불러일으켰다면서 정당정치 반대를 내세워 무소속동지회를 창립했다. 반면 단호히 반군부적인 성향을 띄었고 이토 히로부미로부터 내려온 관료적, 문신적 전통을 지키고자 했던 하토야마파는 대정익찬회에서도 소외받았다. 그래서 결국 전후 일본자유당을 창당했누데, 이 자유당은 현 일본의 여당인 자유민주당의 전신이기도 하다. 즉, 본래 자민당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전범과 군부의 후예들의 정당과는 매우 거리가 멀었고, 오히려 군부에 반대하던 문민 정치인들의 후예들이 이끈 정당이었다. 물론 입헌정우회와는 연관이 없는 기시 노부스케와 그 후계자들 때문에 빛이 바랜 감은 있지만.[9]
190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일본 정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단 점에서 전후의 정당인 자유민주당과 비교되는 점도 있다. 당내에서 불만을 가진 인원들이 합류하여 1910년대 이후 헌정회나 입헌동지회 등의 리버럴 정당이 커진 것도 자유민주당과 신생당, 일본민주당 등과의 관계와 비슷하다. 다만 리버럴이나 기타 정당, 일본군 출신 무소속 등의 인사들이 총리도 될 정도로 일본 정계에 제법 영향을 미쳤던 당시의 상황상 확고부동한 여당 위치까진 아니었다. 당장 1920년대 이후부턴 입헌민정당과 양당 체제를 구성했고, 30년대에는 총리인 이누카이 쓰요시가 일개 해군 장교들에게 암살됐을 정도로 문민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1] 공식적으로 천황중심주의를 내세웠다. 반대로 입헌민정당은 의회중심주의를 지지했다. [2] 1890년 창당된 일본 최초의 정당. 입헌자유당으로 창당되어 자유당으로 변경되었다.[3] 이후로는 일본자유당→민주자유당→자유당→자유민주당 순이다.[4] 일단은 자유보수주의 성향 인사들도 있던 정당이라 극우는 아니었다.[5]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재야 정치단체들은 오히려 헌정당(憲政党), 제국당(帝国党), 진보당, 헌정본당 등 조직명을 정당으로 명기하였다. 실제로 1890년대 일본 주요 정당들의 명칭도 입헌자유당, 입헌개진당 등이었다.[6] 가쓰라는 정우회와 협상하려 했지만, 여의치않자 독자 정당인 입헌동지회를 조직한다. 입헌동지회는 독자정당치고는 1920년대 초까지 오랫동안 정우회를 상호 적극 견제하며 1, 2당을 나눠먹었다.[7] 당시 일본은 급속도로 해군력을 증강하면서 건함 경쟁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일본 해군 장교들과 독일의 중공업체 지멘스 사이에 거액의 뇌물이 오갔음이 폭로돼서 엄청난 부패 스캔들로 번졌다.[8] 해군 대위 출신 기업인 겸 정치인으로, 나카지마 비행기의 창업자이기도 하다. 철도대신 (제1차 고노에 내각), 군수대신, 상공대신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을 역임한 바 있다.[9] 기시 노부스케는 전전~전시에는 보수주의자가 아니였으며 오히려 혁신관료라고 불리던 파시스트에 가까웠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