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이세호
이세호 - 나무위키

이세호

최근 수정 시각: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세호(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
초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
이응준
제2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
채병덕
제3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
신태영
제4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
채병덕
제5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정일권
제6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이종찬
제7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백선엽
제8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정일권
제9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이형근
제10대
백선엽
제11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송요찬
제12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최영희
제13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최경록
제14대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장도영
제15대
김종오
제16대
민기식
제17대
김용배
제18대
김계원
제19대
서종철
제20대
노재현
제21대
이세호
제22대
정승화
제23대
이희성
제24대
황영시
제25대
정호용
제26대
박희도
제27대
이종구
제28대
이진삼
제29대
김진영
제30대
김동진
제31대
윤용남
제32대
도일규
제33대
김동신
제34대
길형보
제35대
김판규
제36대
남재준
제37대
김장수
제38대
박흥렬
제39대
임충빈
제40대
한민구
제41대
황의돈
제42대
김상기
제43대
조정환
제44대
권오성
제45대
김요환
제46대
장준규
제47대
김용우
제48대
서욱
제49대
남영신
제50대
박정환
제51대
박안수

※ 초대~제8대: 육군총참모장 / 제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
초대
이세호
3대
박희동
15대
유재열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초대
이한림
8대
한신
9대
김희덕
11대
박원근
12대
이소동
15대
신현수
16대
강영식
17대
김홍한
19대
박명철
21대
임인조
23대
최경근
24대
이재관
28대
김충배
29대
류우식
30대
송기석
33대
서길원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
초대
이형근
13대
백남권
17대
박중윤
20대
김희덕
29대
황인수
30대
지일환
31대
최문규
35대
임인조
36대
김정헌
37대
장성
38대
김정남
39대
장창규
40대
한승의
47대
정승조
48대
이봉원
49대
박종선
50대
박남수
52대
양종수
53대
최병로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60대: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중장
태극무공훈장 약장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태극무공훈장 부장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1951
이근석
공군준장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1951
심일
육군소령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1951
김용식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홍재근
육군일병
1951
김용배
육군준장
1951
박노규
육군준장
1951
김백일
육군중장
1951
김홍일
육군중장
1951
함준호
육군중장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1951
최용남
해병소장
1951
김성은
해병중장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1952
이형근
육군대장
1951
권동찬
육군준장
1952
김종오
육군중장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1953
장덕창
공군중장
1953
최용덕
공군중장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1953
김교수
육군대위
1953
김한준
육군대위
1953
김용배
육군대장
1953
민기식
육군대장
1953
임충식
육군대장
1953
한신
육군대장
1953
김점곤
육군소장
1953
이성가
육군소장
1953
이용문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1953
김동빈
육군중장
1953
김종갑
육군중장
1953
백인엽
육군중장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1953
유재흥
육군중장
1953
최영희
육군중장
1953
함병선
육군중장
1953
최치환
총경
1954
김만술
육군대위
1954
허봉익
육군대위
1954
김경진
육군소령
1954
김웅수
육군소장
1954
송석하
육군소장
1954
엄홍섭
육군소장
1954
임선하
육군소장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1954
김옥상
육군일병
1954
조재미
육군준장
1954
안낙규
육군중사
1954
박병권
육군중장
1954
이응준
육군중장
1954
이준식
육군중장
1954
장도영
육군중장
1954
최석
육군중장
1954
최창언
육군중장
1954
박옥규
해군중장
1954
김석범
해병중장
1955
김창룡
육군소장
1955
정긍모
해군중장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1961
김금성
공군준장
1964
박정희
대통령
1966
이종세
육군상사
1966
강재구
육군소령
1966
이인호
해병소령
1967
송서규
육군대령
1967
채명신
육군중장
1967
지덕칠
해군중사
1967
정경진
해병대위
1967
신원배
해병소위
1968
최규식
경무관
1968
이익수
육군준장
1968
최범섭
육군중령
1970
이세호
육군중장
1972
이무표
육군대위
1972
임동춘
육군대위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1980
전두환(취소)
육군대장
2002
장철부
육군중령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2011
조달진
육군소위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1. 개요2. 생애3. 여담

1. 개요[편집]

2. 생애[편집]

1925년 경기도 개성군(현 개성시) 출생. 송도고등학교, 육군사관학교 2기 졸업. 제33보병사단장, 제28보병사단장, 제37보병사단장, 제6군단장, 주월한국군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 육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했다. 박정희육군사관학교 동기로 막역한 친구 사이[1]로 알려지며 무려 4년간 참모총장으로 재임하여 현재까지도 최장 기간 재임한 참모총장이다. 1979년 참모총장에서 퇴임한 후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전두환에게는 본의 아니게 은인이 되었는데, 이세호는 자신이 예편한 이후 보안사령부에서 보안사령관 직위를 기존의 중장 계급에서 대장 계급으로 격상시키려 한다는 것을 들었다.

재임 시절 보안사령부의 권력 남용과 폐단을 인식한 이세호는 박정희에게 탄원서를 올려 권력 남용의 폐단을 막으려면 군 수사기관은 계급을 오히려 소장으로 낮추어야 한다고 탄원했다.

이세호의 탄원서가 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기존 보안사령관진종채 중장이 물러난 후 본래 보안사령관중장 보직인데 그것도 군단장을 거친 후인 2차적으로 맡는 보직인데 이제 막 사단장을 지낸 소장 전두환이 1979년 3월 전격적으로 보안사령관에 오르게 된 것이다.[2] 그야말로 파격적 인사였는데 이 인사 후 9개월이 지나 전두환보안사령부를 기반으로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탈취한다. 전혀 자신은 의도하지 않았는데 전두환의 정권 장악에 기여하게 된 셈.

과거 인터뷰에서 “그 후 갑자기 10·26 사건이 터지면서 보안사령관이 권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대통령까지 되는 것을 보면서, 참 역사의 아이러니를 느꼈다. 내 충정은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 본의 아니게 내 탄원서가 전두환의 권력 만들기에 일조를 해버린 셈이 되고 말았다"며 씁쓸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리고 그는 1980년 전두환신군부(하나회)가 정권을 장악하자 구정권의 유력인사로서 부정축재 혐의로 몰려 재산을 강제 헌납당했으며[3] 이후에도 신군부로부터 감시를 받았다고 한다..

2013년 4월 28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안장식 영상

3. 여담[편집]

  • 베트남전 참전용사들한테 인기가 없다. 이세호 장군이 총사령관이었을 당시 복무했던 참전용사들도 채명신장군을 "영원한 사령관"으로 받든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 채명신 장군은 그리 큰 논란에 시달리지 않고 참군인의 표본으로 남았지만 이세호 장군은 전투수당 발언등 여러 발언으로 참전회들을 가른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1] 이세호 총장이 올린 인사안은 단 한번을 제외하고 박정희에게 반려된 적이 없었다고 한다. 단 한번이 바로 1976년 초 전두환경호실 작전차장보로 임명된 것으로, 박정희이세호의 인사안을 반려하고 직접 지시하여 총애하던 전두환을 요직인 경호실 차장보로 임명했다. 이 인사를 계기로 전두환은 '박정희의 양아들'로 소문이 나기도 했다.[2] 보안사령관중장에서 소장보직으로 낮춘 첫 케이스로 임명된 전두환은 곧바로 술 한병을 사들고 뛰어와 '총장님 앞으로 잘 지도해 주십시오'라고 인사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게, 소장 보직으로 격하당하긴 했지만 여전히 보안사령관은 막강한 권한을 지닌 자리였으니 전두환 입장에서는 매우 고마웠을 것이다.[3] 사실 이세호 대장은 육군참모총장 재임 당시 하나회 출신 박희도와 악연이 있었다. 박희도준장계급으로 진급한 뒤 공수1여단장에 처음 부임한 시기에 무장공비가 1여단의 위수지역을 마음껏 돌아다니다가 복귀에 성공한 사건이 발생했었다. 이때 이세호 대장은 불같이 화를 내며 박희도보직해임하고 전역시켜버리려 했지만, 박희도의 상관이자 육군특수전사령관정병주 소장이 이세호 대장에게 싹싹 빌어서 더이상 문책하지 않고 넘어갔다. 그리고 박희도는 이런 은인인 정병주 소장에게 동서고금에 드물 정도의 강력한 뒤통수로 보답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