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애공 6년(기원전 446년), 위환자가 죽자 그 아들인 위사(魏斯)가 뒤를 이었다. 그가 바로 위문후다.
진유공 10년(기원전 424년), 위문후가 제후를 자칭하여 이 때가 위문후 원년이 되었다.
진열공 11년(기원전 405년), 제나라의 전회가 늠구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삼진(三晉)에게 구원을 청했다. 위문후는 적각을 주장으로 삼아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제나라를 공격하여 장성까지 이르렀다. 제강공은 이 일로 인해 쫓겨나게 되었다.
진열공 13년(기원전 403년), 주나라 천자가 이들이 제나라를 안정시킨 공으로 정식으로 제후로 임명한다고 명했다.
진유공 10년(기원전 424년), 위문후가 제후를 자칭하여 이 때가 위문후 원년이 되었다.
진열공 11년(기원전 405년), 제나라의 전회가 늠구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삼진(三晉)에게 구원을 청했다. 위문후는 적각을 주장으로 삼아 한나라, 조나라와 함께 제나라를 공격하여 장성까지 이르렀다. 제강공은 이 일로 인해 쫓겨나게 되었다.
진열공 13년(기원전 403년), 주나라 천자가 이들이 제나라를 안정시킨 공으로 정식으로 제후로 임명한다고 명했다.
위문후는 나라를 안정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현인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공자의 제자인 자하[4]가 현명하다고 알려져 있는지라 친히 그를 초빙해 스승으로 모셨다. 자하는 위문후의 성의에 감동하여, 위나라로 갔다. 그는 위나라에서 학문을 가르쳐, 많은 제자들을 양성했다. 그리하여 위나라에 인재가 많아졌다. 위문후는 자하에게 공손하게 청해 예악과 경전에 대해 가르침을 받았고, 자하는 위문후에게 백성을 사랑하는 어진 정치를 하는 참다운 군주의 도를 펼치게 하며, 요임금과 순임금의 치세와 같이 현명한 신하를 가까이 하고, 간신배를 멀리하게 했다.
위문후는 이회(李悝)를 재상으로 임명하여 변법을 실시했다. 이회는 도법, 적법, 수법, 포법, 잡법, 구법 등의 6편의 법률을 만들어 위나라를 다스렸다. 그리고 전자방과 단간목 등의 학자를 중용하였다.
삼진으로 나뉘어진 뒤 한나라, 조나라가 서로 싸웠다. 이때 한나라가 위나라에게 구원을 청했다.
한나라 사신이 말했다.
"군후께서 우리를 위해 병사를 보내 조나라를 쳐서 저희를 구해주십시오."
위문후가 말했다.
"과인은 조후와는 수족과 같은 사이이니 경의 나라를 위해 원군을 보낼 수 없소."
조나라 사신 또한 원병을 요청하는 말을 전하자 위문후가 대답했다.
"과인과 한후의 정리는 형제와 같으니 경의 나라를 위해 파병할 수 없소."
위문후가 양국에게 원병을 보내지 않았으므로 양국의 특사는 귀국하였다. 오래지 않아 양국은 위문후의 조정으로 인해 화해하였고 그들은 위나라에 조공을 바쳤다.
사마광은 이 일을 이렇게 평했다.
"위가 삼진 중에서 빨리 전성기를 맞은 이유는 제후들로 하여금 서로 싸우는 법이 없게 했기 때문이다."
위문후는 오기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이극에게 물었다.
"경이 보기에 오기는 어떤 자요?"
이극[5]이 대답했다.
"오기는 공명과 여색을 탐하는 자입니다. 다만 용병술만은 전양저도 오기에게는 미치지 못합니다."
그리하여 위문후가 오기를 대장으로 봉해 진나라를 쳐서 하서의 5개 성을 취한 뒤 그곳에 하서군을 설치하고 오기를 군수(郡守)로 임명했다.
삼진으로 나뉘어진 뒤 한나라, 조나라가 서로 싸웠다. 이때 한나라가 위나라에게 구원을 청했다.
한나라 사신이 말했다.
"군후께서 우리를 위해 병사를 보내 조나라를 쳐서 저희를 구해주십시오."
위문후가 말했다.
"과인은 조후와는 수족과 같은 사이이니 경의 나라를 위해 원군을 보낼 수 없소."
조나라 사신 또한 원병을 요청하는 말을 전하자 위문후가 대답했다.
"과인과 한후의 정리는 형제와 같으니 경의 나라를 위해 파병할 수 없소."
위문후가 양국에게 원병을 보내지 않았으므로 양국의 특사는 귀국하였다. 오래지 않아 양국은 위문후의 조정으로 인해 화해하였고 그들은 위나라에 조공을 바쳤다.
사마광은 이 일을 이렇게 평했다.
"위가 삼진 중에서 빨리 전성기를 맞은 이유는 제후들로 하여금 서로 싸우는 법이 없게 했기 때문이다."
위문후는 오기가 현명하다는 말을 듣고 이극에게 물었다.
"경이 보기에 오기는 어떤 자요?"
이극[5]이 대답했다.
"오기는 공명과 여색을 탐하는 자입니다. 다만 용병술만은 전양저도 오기에게는 미치지 못합니다."
그리하여 위문후가 오기를 대장으로 봉해 진나라를 쳐서 하서의 5개 성을 취한 뒤 그곳에 하서군을 설치하고 오기를 군수(郡守)로 임명했다.
조나라는 중산국(中山國)을 골칫거리로 여겼다. 위문후가 길을 빌려 중산국을 치고자 했으나 조헌자가 거절하려고 했다. 대신 조각이 권했다.
"위나라로 하여금 중산국을 치게 하십시오. 이겨봐야 이긴 것 같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국력만 쇠약해질 것입니다. 오히려 중산의 힘을 빌어 위나라의 힘을 빼고 저희가 중간에서 그들의 땅을 얻는 이익을 취하면 됩니다."[7]
그리하여 조헌자가 그 말에 따랐다.
이때 책황(翟璜)은[8] 자신의 식객인 악양이 장군으로서의 재질이 뛰어남을 알고 중산을 치는 주장으로 삼게 했다. 악양의 아들인 악서는 중산국에 있었는데, 악양이 그것에 개의치 않고 중산국을 치자 중산국왕은 악서를 죽여 그 고기를 악양에게 보내니 악양은 고기를 먹으면서 속으로 한을 품고 중산국을 멸하였다. 이때가 위문후 19년(기원전 406년)이었다. 그리고 그 일로 인해 악양을 탄핵하는 여론이 높아져 결국 위문후는 악양을 더 쓰지 않게 되었다.[9]
참고로 이 양반의 후손이 연나라의 연소왕 때 대장군이 되어 제나라를 멸망시킬 뻔한 악의다.
"위나라로 하여금 중산국을 치게 하십시오. 이겨봐야 이긴 것 같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국력만 쇠약해질 것입니다. 오히려 중산의 힘을 빌어 위나라의 힘을 빼고 저희가 중간에서 그들의 땅을 얻는 이익을 취하면 됩니다."[7]
그리하여 조헌자가 그 말에 따랐다.
이때 책황(翟璜)은[8] 자신의 식객인 악양이 장군으로서의 재질이 뛰어남을 알고 중산을 치는 주장으로 삼게 했다. 악양의 아들인 악서는 중산국에 있었는데, 악양이 그것에 개의치 않고 중산국을 치자 중산국왕은 악서를 죽여 그 고기를 악양에게 보내니 악양은 고기를 먹으면서 속으로 한을 품고 중산국을 멸하였다. 이때가 위문후 19년(기원전 406년)이었다. 그리고 그 일로 인해 악양을 탄핵하는 여론이 높아져 결국 위문후는 악양을 더 쓰지 않게 되었다.[9]
참고로 이 양반의 후손이 연나라의 연소왕 때 대장군이 되어 제나라를 멸망시킬 뻔한 악의다.
위문후 29년(기원전 396년), 위문후는 병이 깊어져 죽음을 앞두게 되었다. 오기, 서문표 등을 불러 태자인 위격을 부탁하고 죽었다. 태자가 그 뒤를 이어 군주가 되니 그가 바로 위무후다.
[1] 위씨 종주[2] 제후를 칭한 것 기준[3] 여담으로 손자인 위혜왕도 장수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재위기간만 50년에 달하기 때문이다. 성인인 20세에 즉위했다면 무려 70세까지 산 셈이니 이 역시 당시로서는 장수한 것이다.[4] 본명은 복상(卜商)[5] 위에 나온 이회. 문헌에 따라서 이회, 이리, 이극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해진다.[6] 게다가 그걸 말릴 삼로들은 무당과 결탁해 삥을 뜯어 얻은 백성들의 재물을 나눠먹고 있었다.[7] 단 위나라도 조나라에게 그 땅을 넘길 생각이었다.[8] 翟자는 평소에는 적으로 읽지만 성으로 쓸 때는 적이 아닌 책으로 발음한다.[9] 이때 그 근거로 쓴 사례가 제환공 대의 간신 역아, 수초, 개방의 사례를 들었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