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News 코리아의 영상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연풍리[1]에 위치한 집창촌. 대한민국의 집창촌 중 매우 유명한 곳 중 하나면서 가장 큰 곳으로, 이 지역의 정식 명칭은 대추벌이다.
파주에서도 문산과 법원읍 사이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져 수요도 줄었지만 인상적인 이름과 엄청난 그 규모로 이름을 널리 알렸기 때문인지 성매매를 소재로 했거나 관련 내용이 나오는 작품 중에는 이 지역을 배경으로 했거나 이 지역이 언급되는 작품들이 꽤 있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김성모의 용주골 시리즈다. 물론 성매매와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작품들에선 이 지역 말고도 청량리 588이나 수원역, 평택 쌈리 등이 등장하거나 언급되는 경우도 많다.
774번 버스(구 703번)가 이 동네를 지나가는데 버스를 타고 지나면 용주골이 적나라하게 보인다.
파주시장 김경일은 용주골 전담 부서를 만들고 경찰과 소방에 공조하는 등 완전 폐쇄를 진행하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23년 안에 폐쇄할 것을 목표로 두었다고 한다. BBC 주부 출신이었던 성매매 여성이 인터뷰한 것도 화제가 됐는데 분유를 훔치지 않고 아이를 키우려면 이곳에서 일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현재 용역들이 강제로 들어와서 문을 뜯어갔다고 말했다. #[2]
2024년 5월 보도에 따르면 폐쇄될 기미가 없다고 한다. 공무원, 시민단체가 순찰활동을 하면 성매매 단체가 시위하고, 순찰이 끝나면 다시 성매매를 한다는 것. 시 측은 불법 건축 철거와 탈성매매 지원을 한다지만, 타 지역 집창촌이 줄줄이 폐쇄되자 풍선 효과로 여기 몰린다. 성매매 여성들은 재개발 때까지 기다려달라고 주장하나, 반대 단체는 시골이라 재개발 움직임이 없으니 그건 시간끌기용 주장이라 반박하며 경찰이 제대로 단속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경기도 화성시에도 용주골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지만 파주처럼 집창촌은 아니고 그냥 평화로운 낚시터다.
2001년부터 단행본이 나오기 시작하여 2016년까지 거의 200권 가까이 연재되었다.
최우성 감독. 이채담, 민도윤, 주향윤, 진서현, 박종환 출연의 2015년작 에로 영화이다. 용주골을 배경으로 하기도 하지만 본편에서 나오는 제목으로는 용의주도한골짜기의 줄임말이다.
용주골에서 성매매로 벌어들이는 돈이 시원치 않자 인터넷 방송에 뛰어들어 돈을 모은다는 설정으로, 아프리카 TV를 아프니까 TV로 패러디 하는 등 꽤 독특한 에로 영화다. 특히 아프니까 TV 채팅창의 리얼함은 진짜 인터넷 대화창을 보는 느낌을 줄 정도다.
알다시피 작품성은 매우 떨어지고 에로 영화 흥행에도 실패한 망작이다. 특히 이 작품에서 이채담 배우의 연기력은 매우 떨어진다고 평가받았으며 영화 자체에 대한 혹평도 이어진다.
용주골에서 성매매로 벌어들이는 돈이 시원치 않자 인터넷 방송에 뛰어들어 돈을 모은다는 설정으로, 아프리카 TV를 아프니까 TV로 패러디 하는 등 꽤 독특한 에로 영화다. 특히 아프니까 TV 채팅창의 리얼함은 진짜 인터넷 대화창을 보는 느낌을 줄 정도다.
알다시피 작품성은 매우 떨어지고 에로 영화 흥행에도 실패한 망작이다. 특히 이 작품에서 이채담 배우의 연기력은 매우 떨어진다고 평가받았으며 영화 자체에 대한 혹평도 이어진다.
- 이채담 - 마샬
- 민도윤 - 포주 용화
- 주향윤 - 떡배
- 진서현 - 방울
- 박종환 - 강회장
[1] 연풍 1길, 연풍 2길, 연풍 3길, 대추길 각각 일부가 섞여 있다. 다른 지도에서 용주골을 검색하면 술이홀로 쪽으로 잡히는데 거기서 더 밑으로 가면된다.[2] 이런 문제가 생긴 데엔 성매매 특별법의 비판과 논란에서 보듯이 정착지원금이 매우 적은 것이 한몫했다. 만약 파주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좀 덜하겠지만, 이들 상당수는 외지인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렇기에 정착지원금을 최소한 최저생계비 이상으로 줘야하는데, 정착지원금이 2년 기준 2520만원, 1달로 환산하면 최저생계비 미만이다. 이정도면 파주에 근거지를 둔 사람이 아닌 이상 당연히 거부하고도 남는다. 참고로 후술한 완월동에서도 비슷한 논란이 터졌는데, 이쪽은 시의회에서 1억원 정도로 삭감한 것이다.[3] 완월동도 부산과 마산 두 곳에 있는데, 부산 완월동은 현 충무동 지역의 사창가를 의미하고, 마산의 완월동은 오히려 전통적인 학교가 많은 마산의 중심이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