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경상북도의 옛 행정구역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조선의 왕족에 대한 내용은 영풍군(조선) 문서 참고하십시오.
|
고구려 때 내기군(奈己郡)으로 불리다가, 통일신라 때 내령군(奈靈郡)으로 바뀌었다. 조선 초인 1413년 영천군(榮川郡)으로 개칭됐다. 1914년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이 영주군으로 통폐합되었으며, 1980년 영주읍이 영주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영주군의 잔여 지역이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기존 명칭인 영주의 '영'과 풍기의 '풍'을 따 명명되었다. 1995년 영주시와 영풍군이 영주시로 도농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413년 경상도 영천군(榮川郡)이 되었다.
1457년 순흥도호부가 폐지되어 그 일부를 편입하였다.
1687년 순흥도호부가 복원되어 편입한 지역 일부를 환원하였다.
1895년 23부제 실시로 안동부(安東府) 영천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 영천군이 되었다.
1906년 임지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
1914년 4월 1일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1]을 영주군(榮州郡)으로 통폐합하였다. 세 군의 중심인 '영천'을 그대로 통합 군명으로 채택하지 않고, 같은 경상북도 내의 영천군(永川郡)과 혼동되지 않도록 '영주'로 바꾸었다.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영주군의 잔여 지역이 영주의 '영'과 풍기의 '풍'에서 따온 영풍군(榮豊郡)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경상북도 영주시와 영풍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영주시가 설치되었다.
1413년 경상도 영천군(榮川郡)이 되었다.
1457년 순흥도호부가 폐지되어 그 일부를 편입하였다.
1687년 순흥도호부가 복원되어 편입한 지역 일부를 환원하였다.
1895년 23부제 실시로 안동부(安東府) 영천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 영천군이 되었다.
1906년 임지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
1914년 4월 1일 영천군, 풍기군, 순흥군[1]을 영주군(榮州郡)으로 통폐합하였다. 세 군의 중심인 '영천'을 그대로 통합 군명으로 채택하지 않고, 같은 경상북도 내의 영천군(永川郡)과 혼동되지 않도록 '영주'로 바꾸었다.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분리 승격되면서 영주군의 잔여 지역이 영주의 '영'과 풍기의 '풍'에서 따온 영풍군(榮豊郡)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경상북도 영주시와 영풍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영주시가 설치되었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