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3번 | |||||
| |||||
기점[1] |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 [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앞) | 종점[2]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23:30 | 기점 행 | 첫차 | 23:30 |
막차 | 03:40 | 막차 | 03:35 | ||
배차간격 | 20~30분 (1일 12회)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12대[3] | |||
노선 | (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 → 노원역9번출구 →/ 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앞 ← 도봉면허시험장 ←)[4] - 백병원 - 중계역 - 하계역 - 공릉역 - 태릉입구역 - 석계역 - 돌곶이역 - 한국예술종합학교 - 외대앞 - 회기시장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장충체육관앞 - 약수역 - 버티고개역 - 순천향대학병원 - 한남대교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 잠실종합운동장 - 잠실새내역 - 잠실역 - 석촌역 - 가락시장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복정역환승센터 |
- 2013년 9월 12일에 신설됐다. 관련 공지사항 흥안운수는 105번, 한국BRT는 360번에서 3대를 감차하여 투입했다.
- 2016년 11월 28일 흥안운수 102번에서 1대, 한국brt 360번에서 1대가 투입됐다. 그리하여 이 노선의 인가대수가8대로 늘고 배차간격이 20~25분으로 줄었다.
- 2017년 12월 8일부터 한 달간 10대로 운행했다. 기존 노선 차량에 다중노선 설정을 하여 차출하며, 한국brt는 701번과 묶었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존 운행차량(8대)에 흥안운수, 신흥기업 차량이 각 1대씩 한시적으로 증차되어 10대로 운행했다.
- 2020년 1월 31일 첫차부터 성남 심야버스 반디1번과 환승연계 편의를 위해 송파차고지에 오기 전에 암묵적으로 하차시켰던 복정역 정류장이 정식 정류장으로 인가받아 추가됐고, 장지역 방향시 복정역 환승센터를 정차 경유하도록 변경되어 환승이 편리해진다. 다만 환승연계는 평일에만 가능.
- 2021년 2월 3일 첫차부터 송파공영차고지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송파공영차고지 정류장이 폐쇄되면서 종점이 복정역환승센터로 변경됐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8대에서 10대로 증차됐다.관련 게시물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4대가 증차되어, 00:00이던 첫차가 23:30으로 당겨지고 25분이던 최소 배차간격이 20분으로 줄어들었다. 차량은 흥안운수 146번, 1139번에서 각 1대, 한국brt 701번에서 2대 투입됐다. 관련 공지사항
- 2023년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146번과, 360번에서 각 1대씩 총 2대가 증차되었다.관련 공문
2022년 12월 1일 기준.
상계7단지 출발 | |||||
23:30 | 00:00 | 00:20 | 00:40 | 01:00 | 01:20 |
01:50 | 02:10 | 02:30 | 02:50 | 03:10 | 03:40 |
복정역환승센터 출발 | |||||
23:30 | 23:50 | 00:10 | 00:30 | 00:50 | 01:20 |
01:50 | 02:15 | 02:35 | 02:55 | 03:15 | 03:35 |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921명 | - |
2014년 | 1,028명 | △ 107 |
2015년 | 1,016명 | ▽ 12 |
2016년 | 1,030명 | △ 14 |
2017년 | 1,385명 | △ 355 |
2018년 | 1,471명 | △ 86 |
2019년 | 1,627명 | △ 156 |
2020년 | 1,293명 | ▽ 334 |
2021년 | 887명 | ▽ 406 |
2022년 | 1,200명 | △ 313 |
2023년 | 1,646명 | △ 44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선릉역, 복정역
- 신분당선: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이음, ITX-청춘, 무궁화호, 누리로)
[1] 흥안운수(N13상계) 출발점[2] 한국brt(N13송파) 출발점[3] 회사별 6대 운행.[4] 편도 회차 구간으로, 송파측 차량도 N61양천 차량 처럼 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앞에서 모든 승객을 하차시킨 뒤, 노상대기 후 운행을 재개하므로 해당 정류장 너머 구간을 계속 타고 있을 수 없다.[5] 기존에는 폐선된 407번이었다. 신설 당시 심야운행이 중단되었고 폐선 후 407번과 겹치는 144번으로 한 것임. 신설부터 420보다 407 대체가 주목적이었다.[6] 한남대교까지는 N13번과 똑같은 경로로 운행하나, N13번이 흥인지문까지 크게 돌아가는 대신, 3100번과 3600번은 동부간선도로를 타고 선진답게 초스피드로 태릉입구역까지 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최소 20분 정도가 적다.[7] 외대앞 하차[A] 8.1 8.2 8.3 회기시장 하차[9] 서울시중부기술교육원.블루스퀘어 하차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