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적(狄)의 의미는 은(=상(商))대에 나타났던 귀방(鬼方) 또는 원 튀르크계 민족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나중에는 의미가 확대되어서 중원 북쪽에 사는 비한족 민족을 통칭하는 표현으로 변해갔으며, 시대에 따라 흉노족, 오환족, 선비족, 돌궐족, 위구르족, 거란족, 몽골족 등을 지칭하게 되었다. 또 나중에는 융족과의 구분이 점점 흐릿해져서 융적으로 통칭하기도 하였다.[2]
춘추시대 때엔 산서성에 거주했는데 병주(幷州)나 태행산(太行山, 산서성과 하북의 경계를 나누는 태행 산맥) 인근은 기원전 6~500년까지만 해도 사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었다. 이를 당대의 패자 진나라가 융적을 몰아내 중원의 영역으로 편입시킨 것. 춘추시대 중기에는 위(衛)가 북적에게 멸망당해서 제나라가 다른 국가들을 이끌고 북적을 공격한 적도 있다. 이들 중 북쪽으로 쫒겨나거나 동화되지 못한 갈래가 나중에 중산국을 구성하는 무리가 된다.
전국시대부터 중국 문명과 접촉한 흉노는 초기에는 북적과는 다른 집단으로 인식되어 호인(胡人)으로 지칭되었다가 한족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상고시대 북적이 사라지게 되고 나서부터는 북적과 호인이 혼용되어 오랑캐라는 명칭이 탄생하게 되었다.
춘추시대 때엔 산서성에 거주했는데 병주(幷州)나 태행산(太行山, 산서성과 하북의 경계를 나누는 태행 산맥) 인근은 기원전 6~500년까지만 해도 사람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었다. 이를 당대의 패자 진나라가 융적을 몰아내 중원의 영역으로 편입시킨 것. 춘추시대 중기에는 위(衛)가 북적에게 멸망당해서 제나라가 다른 국가들을 이끌고 북적을 공격한 적도 있다. 이들 중 북쪽으로 쫒겨나거나 동화되지 못한 갈래가 나중에 중산국을 구성하는 무리가 된다.
전국시대부터 중국 문명과 접촉한 흉노는 초기에는 북적과는 다른 집단으로 인식되어 호인(胡人)으로 지칭되었다가 한족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상고시대 북적이 사라지게 되고 나서부터는 북적과 호인이 혼용되어 오랑캐라는 명칭이 탄생하게 되었다.
제갈량이 저술한 제갈량집의 북적 편에서는 그들의 특성과 함께 한족과 북쪽의 기마 민족의 차이를 통해 이들과 싸우지 말 것을 강조하면서 그 이유 3가지를 언급했다. 동이, 서융, 남만의 4배 분량으로 제갈량이 가장 염두에 둔 이민족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북적으로 분류되는 유목민족 제국은 역사적으로 중화제국의 가장 큰 위협이었다.
북적은 성곽을 쌓아서 거주하지 않고 물과 풀을 따라 이동하며, 세력이 강하게 되면 남쪽을 침공하고 세력이 약해지면 북으로 잠적한다.
北狄居無城郭隨逐水草勢利則南侵勢失則北遁。
길게 뻗어있는 산맥과 거대한 사막 지대는, 그들을 지키는 자연의 요새로, 배가 고프면 짐승을 포획해 젖을 짜서 마시며, 추위가 오면 가죽을 깔고 잔다. 가죽 옷을 걸치고 수렵과 전투로 나날을 보내기에 도덕으로 교화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무력으로 토벌하는 것도 어렵다.
長山廣磧足以自衛飢則捕獸飲乳寒則寢皮服裘奔走射獵以殺為務未可以道德懷之未可以兵戎服之。
한의 군대로 그들과 싸우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셋이다.
漢不與戰其略有三。
한의 병사는 농사와 전투를 모두 하니 지치기 쉽고 투지가 없지만, 북적은 목축과 수렵을 하면서 유유자적하고 투지가 높다. 투지가 없는 한나라 사람들로 투지가 높은 북적들과 싸우려고 하니 당해낼 수 없다. 이것이 싸울 수 없는 첫째 이유다.
漢卒且耕且戰故疲而怯虜但牧獵故逸而勇。以疲敵逸以怯敵勇不相當也此不可戰一也。
한은 걷는 걸 잘해서 하루에 백 리 밖에 못 가지만 북쪽 오랑캐(虜)는 말타기를 잘하니 이에 하루에 (백 리의) 갑절이나 거리를 달린다. 한나라가 오랑캐를 쫓을 때는 양식을 가지고 갑옷을 입고서(싣고) 따라가고, 오랑캐가 한나라를 쫓을 때에는 빠른 말을 몰아 움직인다. 말에 싣는 것(運)과 등에 지는 것(負)은 우열이 이미 현저하고, 달리는 것(走)과 말을 타고 쫓는 것(逐)은 그 형태가 다르다. 이것이 싸울 수 없는 둘째 이유다.
漢長於步日馳百里虜長於騎日乃倍之。漢逐虜則齎糧負甲而隨之虜逐漢則驅疾騎而運之。運負之勢已殊走逐之形不等此不可戰二也。
한의 전사는 보병이 많고 북적은 기병이 많은데, 유리한 지형을 쟁탈함에 있어서 기병은 보병보다 훨씬 빠르고 속도 차이는 현저하다. 이것이 공격할 수 없는 셋째 이유다. (이렇게 공격할 수 없으니) 부득이 변방을 굳게 지킬 수밖에 없다.
漢戰多步虜戰多騎爭地形之勢則騎疾於步遲疾勢懸此不可戰三也。不得已則莫若守邊。
지키는 법은 다음과 같다. 좋은 장수를 선발해 임하게 하고 정예 병사를 훈련해 막도록 한다. 병영을 넓혀 견실하게 하고, 봉화대를 설치해 대기한다. 적의 허점을 기다려 그에 편승하고, 적이 쇠약해지고 기세가 쇠하면 그를 취하는 것이다.
守邊之道揀良將而任之訓銳士而禦之廣營田而實之設烽堠而待之候其虛而乘之因其衰而取之。
이른바 자원을 낭비하지 않으면서도 도둑이 스스로 없어지는 것이요, 우리가 피곤하지 않으면서도 오랑캐는 스스로 해이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所謂;資不費而寇自除矣人不疲而虜自寬矣。
|
[1] 예를 들어 고구려는 수서 열전에 따르면 백제, 신라와 함께 동이로 분류되었지만, 인적 계통이나 영역이 고구려와 대동소이한 발해는 정작 신당서에서 북적으로 분류되었다. 말갈도 수서에서는 동이, 당서에서는 북적으로 분류되었다.[2] 돌궐, 위구르는 북적이었다가 중국 대륙 서쪽으로 이동한다.[3] 북쪽이 아니라 남쪽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려 시대 평양이 서경이고 경주가 동경이었던 것처럼 옛 사람들은 고구려의 옛 중심지를 서쪽, 신라의 옛 중심지를 동쪽으로 인식했다.[4] 위치상으로는 북해의 북해빙궁까지 포함할 수 있겠지만 북해빙궁은 대체로 북적과는 개별적인 무림 문파 세력으로 분류된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