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김은부
김은부 - 나무위키

김은부

최근 수정 시각: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33·34·35권
36권
37권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열전(列傳) ]
92권
93권
94권
95권
96권
97권
98권
99권
100권
101권
102권
103권
104권
105권
106권
107권
108권
109권
110권
111권
112권
113권
114권
121권
「양리(良吏)」
「효우(孝友)」
122권
133·134·135·136·137권
고려 현종의 장인
김은부
金殷傅
출생
미상[1]
사망
1017년 6월 17일[2]
(음력 5월 15일)
안산현 개국후(安山縣開國侯)
안평(安平)
부모
부친 - 김긍필, 모친 - 미상
부인
안효국대부인(安孝國大夫人)[A] 이씨[B]
자녀
2남 3녀
장남 - 병부상서(兵部尙書) 김충찬(金忠贊)
차남 - 경덕국사(景德國師) 김난원(金爛圓)
장녀 - 원성왕후[5]
차녀 - 원혜왕후[6]
삼녀 - 원평왕후[7]
1. 개요2. 생애3. 경력4. 가족관계5.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고려 현종국구로 고려의 관료이다.

현종이 제2차 여요전쟁 중 거란군을 피해 몽진할 때 그를 공격한 지방의 호족들이나 자신과 같은 다른 지방관들과는 달리 거의 유일하게 도움을 주었던 절도사로서 훗날 고려의 중신이 되어 출세가도를 달린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부인은 인천 이씨의 시조 소성현 개국후(邵城縣開國侯) 이허겸의 딸이고,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모두 현종의 왕후가 되었다. 이후 모든 고려의 왕은 그의 후손이기도 하다.

2. 생애[편집]

수주(수원시) 안산현 사람으로 성품이 근검하였다. 성종 때 견관승(甄官丞)을 지냈고, 목종 때 여러 차례 전임하여 어주사(御廚使)가 되었으며, 현종 초에 고려 12주목공주목(公州牧)의 절도사가 되어 안절군(安節軍)을 지휘했다.

현종이 거란을 피하여 남쪽으로 피난하다가 공주에 머물게 되자, 김은부는 예를 갖추어 교외에서 맞이하면서
"성상께서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온갖 고생을 겪으시며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실 줄 어찌 생각이나 하였겠습니까?"

《고려사》 〈김은부 열전〉
라고 위로하고 의대와 토산물을 올렸다. 현종은 그제서야 옷을 갈아입고 호종하는 관리들에게 받은 토산물을 나누어 주었다.

왕이 파산역(巴山驛)에 도착했지만 역리들은 모두 달아나 버렸고 수라간에 먹을 것조차 없자, 김은부가 다시 음식을 올리며 아침저녁으로 정성껏 받들었다.
왕이 파산역에 도착했는데 역리가 모두 달아나 버려서 어주에 음식이 갖추어져 있지 않자 김은부가 또 음식을 올리며 아침저녁으로 정성껏 받들었다.

《고려사》 〈김은부 열전〉

거란군이 퇴각한 후, 왕이 상경 길에 다시 공주에 유숙하게 되자, 김은부는 맏딸을 시켜서 어의를 지어서 올리게 하였다. 이로 인해, 현종은 그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였는데, 그녀가 바로 현종의 아들이자 고려의 9대 왕 덕종과 10대 왕 정종의 어머니인 원성왕후다. 이후 왕비로 맞아들인 두 동생 원혜왕후, 원평왕후도 김은부의 딸이다.

근친혼이 성행했던 고려 왕실의 풍습 때문에 현종의 아들인 덕종문종이 그에게는 손자임과 동시에 손녀사위이기도 하다. 덕종이 문종의 친누이인 효사왕후와 결혼하고, 문종이 덕종의 친누이인 인평왕후와 결혼했기 때문이다.[8] 멀게는 이후 유명한 이자겸과도 이어진다. 김은부 본인이 이자겸의 증조부인 이한의 누나와 결혼했고, 아들인 김충찬의 처조카가 이자겸의 할아버지인 이자연이다.

이렇게 보면 인생의 승리자처럼 보일 수 있겠으나, 현종이 원성왕후를 맞은 바로 그 해이자 제2차 여요전쟁 직후인 1011년에 형부시랑으로 임명된 것에 이어서 거란 임금의 생일을 축하하러 거란에 사신으로 방문하게 되는데, 귀국하던 도중에 거란에 의해 여진에게 포로로 사로잡혀서 몇 개월 동안 억류를 당하다가 겨우 귀환하는 수난을 겪기도 했다. 다만, 돌아온 후인 1015년에는 지중추원사로, 다음 해인 1016년에는 호부상서에 이어 중추사 상호군으로 임명되어 출세길을 밟는다.

그러나 그 다음해인 1017년에[9] 사망하는데, 이때 현종이 원성왕후의 부친이라 하여 후술되었듯 부인과 부모, 그리고 장인인 이허겸과 더불어 추증되고 식읍도 하사받는다.

3. 경력[편집]

고려사에 기록된 김은부의 사후 추증 관작은 다음과 같다.
  • 공신호: 추충수절창국공신(推忠守節昌國功臣) - 공신호
  • 품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 최고위 문산계 품계로 종1품
  • 수직: 수사공(守司空) - 삼공
  • 훈위: 상주국(上柱國) - 최고위 훈위
  • 작위: 안산현 개국후(安山縣開國侯) - 후작 작위

아들 김난원의 묘지명엔 다음과 같이 기록돼 있다.
  • 검교직: 검교태사(檢校太師) - 검교직은 명예직을 뜻한다. 즉 명예 태사
  • 훈위: 상주국(上柱國)
  • 시호: 안평공(安平公) - 고려사엔 나오지 않는다.

4. 가족관계[편집]

  • 아버지: 안산현 개국후(安山縣 開國侯) 김긍필
  • 어머니: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10]

5. 대중매체[편집]

인생은 김은부처럼
  • 2009년 KBS 대하드라마 <천추태후>에서는 전작 <무인시대>에서 이광정으로 열연하였던 배우 황범식이 연기했다. 황범식 배우가 전작 <무인시대>에서 열연했던 이광정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라인을 잘타서 "인생은 이광정처럼"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는데, <천추태후>에서는 반대로 현종이 성군인 것을 미리 알았는지 "인생은 김은부처럼" 느낌으로 연기해 호평을 받았다.

[1] 딸인 원성왕후가 1013년에 현종과 혼인하였고, 아들인 경덕국사 김난원이 999년생이므로, 김은부 본인은 대략 960~970년대에 태어났을 것이다.[2] 율리우스력 6월 11일[A] 3.1 3.2 현종은 중국 송나라 외명부제도를 받아들이고 정비하여 왕후의 어머니를 국대부인(國大夫人)으로 봉했다. 고려에는 공양왕 대까지 총 18명의 국대부인이 있었다.[B] 4.1 4.2 인천 이씨 이허겸의 딸. 이자연 묘지명[5] 현종의 제3비[6] 현종의 제4비[7] 현종의 제7비[8] 즉, 문종은 인평왕후와 이복남매이고 덕종 역시 효사왕후와는 이복남매이다.[9] 제3차 여요전쟁 발발 1년 전이다.[10]고려사》 제신열전 김은부 편[13] 복흥사 경덕국사 묘지명(福興寺 景德國 師墓誌銘)에 따르면 대각국사 의천의 스승으로 의천이 출가했을 때 화엄교관(華嚴敎觀)을 가르쳤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