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경복궁 근정문
경복궁 근정문 - 나무위키

경복궁 근정문

최근 수정 시각:
[ 펼치기 · 접기 ]
춘안당
수궁(구 관저터)
지희실
수궁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금위군직소
춘화문
수문
춘도문
수문
수문장청
군사방
어구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숙설소
원역처소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제관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계응당(상궁처소)
임향당
나인처소
국별장직소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국출신직소
대소대금방(나인처소)
무겸직소
북소위장직소
수문
파수각
수문장청
내각(규장각)
검서청(규장각)
대전장방(내시부)
장방
수문장청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군사방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내의원)
주원(사옹원)
수정문
훈국군번직소
침의청(내의원)
약방(내의원)
내반원(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계인문
융문루
서소위장직소
의약청(내의원)
영화문
옥당
(홍문관)
검서청(규장각)
대전 수랏간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승정원)
정원(승정원)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춘방책고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우마랑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측사
충장장청
수문
수문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
소재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
2동[1]
지정연도
1985년 1월 8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1395년 창건, 1867년 중건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근정문...
경복궁 근정문
근정문[2]
1. 개요2. 역사3. 구조4. 기타

1. 개요[편집]

경복궁 정전인 근정전정문이다.

2. 역사[편집]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함께 세웠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탔고 1867년(고종 4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

고종 시기에 중건할 때, 위치 등은 개국 초와 비슷하나 상세한 일부 부분은 달라진 듯 하다. 본래 행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부출입구[3]가 문과 가까이 붙었으며, 주변 행각도 단랑이었던 것을 복랑으로 지었다.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 청사가 정말 근정문 바로 앞까지 들어섰었다.[4] 근정문 앞에 있던 흥례문은 헐려 사라지고, 금천은 메워졌다. 그럼에도 근정문은 무사했고 6.25 전쟁의 화마도 무사히 비껴가 오늘날까지 옛 모습대로 남아있다. 그 역사성을 인정받아 1985년에 보물 제812호로 지정받았다.

3. 구조[편집]

  •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목조 건물이다. 가운데 칸은 임금만이 다니는 어칸이라 하여 높이가 좌, 우 칸보다 더 높다. 어칸 남쪽 계단에는 서수 조각과 답도가 놓여있다.
  • 지붕은 우진각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다포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 잡상을 올렸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칠했다.
  • 근정문 안쪽으로 들어가면, 동쪽에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2층 창방 아래에는 빗살무늬 창문이 있다.
근정전 동행각
《북궐도형》의 근정전 동행각 내부 구성도
근정전 서행각
《북궐도형》의 근정전 서행각 내부 구성도
  • 근정문 좌,우행각은 지금처럼 빈 월랑으로 구성되었지만 과거의 근정전 동,서쪽의 행각은 근정문 좌,우행각과는 달리 관청들이 배치되었다. 동행각은 북쪽에서부터 창고인 양미고(粮米庫),과거와 관련된 업무담당인 관광청(觀光廳), 계인문(啓仁門), 융문루(隆文樓), 왕이 사용하던 벼루와 필묵을 담당한 서방색(書房色)이 위치했고 서행각은 행사 때 사용하는 향과 축을 맡은 관청인 향실(香室),왕이 행사 때 하는 축사, 기념사, 명령문 등에 대한 일을 담당한 예문관(藝文館), 협의문(協義門), 융무루(隆武樓), 금군인 내금위, 겸사복, 우림위을 관리하는 내삼청(內三廳), 종친부와 충훈부에 소속된 하급관리인 충의가 근무하던 사무실인 충의청(忠義廳)이 위치했다.

4. 기타[편집]

  • 고려의 근정문, 즉 고려 법궁 정전의 정문은 회경문(會慶門)이다. 태조 ~ 현종 초까진 만월대의 정전이 천덕전이었기에 정전 정문도 천덕문(天德門)이었다. 하지만 현종이 만월대를 재건하며 정전을 새로 지어 천덕문은 밀려나고 회경문이 정전 정문이 되었다.
[1] 근정문 및 근정전 행각.[2]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3] 일화문, 월화문. 일화문은 문신이 드나들고, 월화문은 무신이 드나들었다.[4] 아스팔트 도로를 사이에 두고 중앙청 후문과 마주보고 있었다.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