惡 악할 악, 미워할 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心, 8획 | 총 획수 | 12획 | ||||
중학교 | |||||||
悪 | |||||||
일본어 음독 | アク, オ | ||||||
일본어 훈독 | わる-い, あ-し, いずく-んぞ, にく-む | ||||||
恶[1] | |||||||
표준 중국어 | è, wù | ||||||
|
惡은 악할 악 또는 미워할 오라는 한자로, 악(惡)하다, 나쁘다 또는 미워하다를 뜻한다.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훈 | 악하다 | 미워하다 | |
음 | 악 | 오 | |
è | wù | ||
ok3 | wu3 | ||
ok | vu | ||
ŏ̤ | u̿ | ||
áuk | ó | ||
òⁿ | |||
oq (T4) | u (T2) | ||
음독 | アク | オ | |
훈독 | わる-い, あ-し, わる | いずく-んぞ, にく-い, にく-む | |
ác | ố |
뜻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과 소리를 나타내는 亞(버금 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 연구가 아직 미진하던 때에는 성선설에 기초하여, 인간은 본래 선(善)하지만 두 번째(亞) 마음(心)이 악(惡)하다는 의미로 만들어졌다는 해석이 있었다. 현대에는 亞자를 상나라 당시에 유행하던 무덤의 구조를 묘사한 상형자로 해석하는 것이 정설이다. 상나라 무덤의 모습 Karlgren은 亞가 惡의 의미에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보았으나, Schuessler는 이에 동의하지 않으며 단순히 음을 취했을 뿐이라고 본다.
이 글자는 다음자로, '나쁘다'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일 때는 입성으로, '미워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이는 정반대의 뜻을 가진 好(좋을 호) 자와 같은 양상이다. 한편 가차하여 '어찌'(=安)라는 뜻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는 烏(까마귀 오) 자와 발음이 같다.
- 음독
- 오음: アク, ウ
- 한음: アク, オ
- 悪意 (あくい)
- 悪事 (あくじ)
- 悪魔 (あくま)
- 悪寒 (おかん)
- 嫌悪 (けんお)
- 好悪 (こうお)
- 醜悪 (しゅうあく)
- 憎悪 (ぞうお)
- 훈독
- 悪い (わる-い)
- 悪さ (わる-さ)
- 悪者 (わるもの)
- 堊(흰흙 악)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