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namu.wiki/w/万
萬 - 나무위키

최근 수정 시각:
에서 넘어옴
[ 펼치기 · 접기 ]
(/)
(100)
(/)
(101)
(//)
(102)
(//)
(103)
/분()
(10-1)
()
(10-2)
()/()
(10-3)
()
(10-4)
()
(104)
십만(十萬)
(105)
백만(百萬)
(106)
천만(千萬)
(107)
()
(10-5)
()
(10-6)
()
(10-7)
()
(10-8)
()
(108)
십억(十億)
(109)
백억(百億)
(1010)
천억(千億)
(1011)
()
(10-9)
()
(10-10)
()
(10-11)
()
(10-12)
()
(1012)
()
(1016)
()
(1020)
()
(1024)
모호
(10-13)
준순
(10-14)
수유
(10-15)
순식
(10-16)
(/)
(1028)
()
(1032)
()
(1036)
()
(1040)
탄지
(10-17)
찰나
(10-18)
육덕
(10-19)
허공
(10-20)
()
(1044)
()
(1048)
항하사
(1052)
아승기
(1056)
청정
(10-21)
아라야
(10-22)
아마라
(10-23)
나유타
(1060)
구골
(10100)
구골플렉스
(101010010^{10^{100}})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일만 만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3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マン, バン
일본어 훈독
よろず
표준 중국어
w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萬획순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여담

1. 개요[편집]

萬은 '일만 만'이라는 한자로, '일만(一萬)'을 뜻한다.

숫자 만(10000)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모든', '매우', '상당히', '전부', '많다', '오래 가다' 등을 뜻하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성씨인 만(萬)씨도 이 한자를 쓴다.

꼴이 상당히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어문회급수는 8급밖에 안 된다. 이보다 더 작은 수인 (일천 천)은 7급으로 분류되는데, 아예 둘이 서로 급수가 바뀐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심지어 이 한자의 부수인 는 무려 준특급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廿田中月(TWLB)로 입력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일만
wàn
maan6
van
uāing
uâng
bān
ve (T3)[文] / me (T3)[白]
음독
マン, バン
훈독
よろず
vạn
萬(갑골)
萬(금문)
萬(소전)
갑골문
금문
소전체

갑골문은 전갈의 형상이며, 전갈을 뜻하는 글자였으나 가차되어 현재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본래의 의미인 전갈은 (전갈 채)자가 갖게 되었다. 본래 두 글자의 상고한어 음가는 비슷했으나, 蠆의 경우에는 동물을 뜻하는 보통명사 앞에 붙는 접두사 *s-가 첨가되면서 초성이 萬과 달라졌다.

이체자로 万이 있는데, 이는 불교가 중국으로 유입되면서 함께 전파된 기호인 (卐)을 간략화한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그 설에 의하면 위 이미지에서 萬의 이체자인 万의 예서 이전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것도 예서가 유행한 한나라 이전에는 중국에 불교가 전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万은 오랑캐성씨인 万에 쓰이는데 이 경우 간체자가 아니고 묵기라고 읽어야 한다. 반절이 万은 광운에서 '莫北切막북절'(ㅏㄱ+ㅂㅜㄱ), 집운에서 '密北切밀북절'(ㅣㄹ+ㅂㅜㄱ)이고 집운에서 '渠之切거지절'(ㅓ+ㅈ)이다.

전통적으로 한자문화권에서는 10000이 현실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수였기 때문에 '정도가 엄청나다', '많다' 등을 의미하는 말로 萬을 주로 활용하고 그 이상의 수인 (), () 등은 잘 활용하지 않았다.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滿을 써야 하는 자리에 萬을 쓴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3] 다만 일부 단어와 고사성어는 한자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하여도 혼동할 여지가 있는데, "만무(萬無)하다"나 "만전(萬全)을 기하다"와 같이 滿을 쓸 것처럼 보이는 단어에도 萬을 쓰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그저 일일이 외우는 수밖에 없다.

3. 용례[편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5. 여담[편집]

  • 개그맨 김병만은 '달인' 코너의 '한자의 달인 토익 김병만' 편에서 자신의 이름을 직접 한자로 쓴 바 있다. 이때 (한 일), (두 이), (석 삼)의 모양에 착안하여 萬(일만 만)을 쓸 때 가로 선 10000개를 그으려 하는 개그를 선보였다. 실제로 김병만의 '만'은 萬이다. 즉 실제로는 다른 한자를 쓰면서 개그를 위해 萬을 가져다 쓴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름에 萬을 사용하는 것이다.
[文] 문독[白] 백독, 萬子에서[3] 가령 '만점'을 '萬 points'로, 신조어인 만렙을 '萬 level'로 해석한다든지와 같은 경우가 있다.[4] (붙일 속)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