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ko.wikipedia.org/wiki/5수
오수 (불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오수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수에서 넘어옴)

5수(五受)는 느낌 · 지각 · 정서마음작용(受) 또는 수온(受蘊)을 5가지로 세분한 고수(苦受, 괴로움) · 낙수(樂受, 즐거움) · 우수(憂受, 슬픔) · 희수(喜受, 기쁨) · 사수(捨受, 무덤덤함, 평온)를 말한다. 줄여서 낙(樂) · 고(苦) · 희(喜) · 우(憂) · 사(捨)라고도 한다. 5수는 '증상력 즉 뛰어난 작용력을 가진 5수'라는 뜻에서 5수근(五受根)이라고도 하며, 5수의 각각을 낙근(樂根) · 고근(苦根) · 희근(喜根) · 우근(憂根) · 사근(捨根)이라고 한다.[1][2][3][4]

아비달마구사론》 제3권에 따르면 열(悅)은 신열(身悅) 즉 육체적 즐거움 또는 기쁨이건 혹은 심열(心悅) 즉 정신적 즐거움 또는 기쁨이건 즐거움 또는 기쁨을 통칭하며, 섭익(攝益) 즉 섭수(攝受: 받아들임, 충족됨)와 장익(長益: 이익을 증대시킴)의 뜻을 가진다. 이의 반대로, 불열(不悅)은 육체적 손상시킴[損]과 괴롭힘[惱]의 느낌이건 정신적 손상시킴[損]과 괴롭힘[損]의 느낌 또는 비난[損]과 성냄[惱]의 느낌이건 손상시킴과 괴롭힘의 느낌, 즉 손뇌(損惱: 손상시키고 괴롬힘, 비난하고 성냄[5])의 느낌을 통칭한다. 즉, 불열손뇌의 뜻을 가진다.[6][7][8]

5수

[편집]

고수

[편집]

고수(苦受) · 고근(苦根) · 고(苦) 또는 괴로움은 불열(不悅)의 신수(身受), 즉 육체적 괴로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자면, 신수로서 손뇌(損惱: 손해를 입히고 괴롬힘, 비난하고 성냄)의 느낌 · 지각 · 정서이다.[6][7]

낙수

[편집]

낙수(樂受) · 낙(樂) · 낙근(樂根) 또는 즐거움은 (悅)의 신수(身受), 즉 육체적 즐거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자면, 신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 충족되고 이익됨)의 느낌 · 지각 · 정서이다. 또한 제3정려(悅)의 심수(心受)도 낙수 · 낙근 · 낙 또는 즐거움이라고 한다.[6][7]

우수

[편집]

우수(憂受) · 우근(憂根) · 우(憂) 또는 근심 또는 슬픔은 불열(不悅)의 심수(心受), 즉 정신적 괴로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자면, 심수로서 손뇌(損惱: 손해를 입히고 괴롬힘, 비난하고 성냄)의 느낌 · 지각 · 정서이다.[6][7]

희수

[편집]

희수(喜受) · 희근(喜根) · 희(喜) 또는 기쁨은 (悅)의 심수(心受), 즉 정신적 즐거움의 느낌이다. 달리 말하자면, 심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 충족되고 이익됨)의 느낌 · 지각 · 정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3정려 아래의 3가지 (地), 즉 욕계 · 초정려 · 제2정려(悅)의 심수(心受)를 희수 · 희근 · 희 또는 기쁨이라고 한다.[6][7]

사수

[편집]

사수(捨受) · 사근(捨根) · 사(捨) 또는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음 혹은 기쁘지도 근심스럽지도 않음은 (悅)도 불열(不悅)도 아닌 신수심수를 통칭한다. 즉,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육체적 느낌과 기쁘지도 근심스럽지도 않은 정신적 느낌을 통칭한다. 달리 말하자면, 신수 또는 심수로서 섭익(攝益: 섭수와 장익)도 손뇌(損惱: 손상시키고 괴롬힘)도 아닌 느낌 · 지각 · 정서이다.[6][7]

마음의 5수 분별

[편집]

상좌부아비담마에 따르면 하나의 마음이 간략히는 총 89가지 마음으로, 자세히는 총 121가지 마음으로 나뉘는데, 이 중에서 느낌 즉 5수로 분별하기 위해서는 121가지 마음 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121가지 마음을 5수에 따라 분별하면 다음과 같다.

마음의 이름느낌(5수)소계합계총계
고수
(신체적 괴로움)
낙수
(신체적 즐거움)
우수
(정신적 불만족)
희수
(정신적 기쁨)
사수
(정신적 평온)
욕계 마음해로운 마음탐욕에 뿌리박은 마음4481254
성냄에 뿌리박은 마음22
어리석음에 뿌리박은 마음22
해로운 마음 합계0024612
원인 없는 마음원인 없는 해로운 마음16718
원인 없는 유익한 마음1168
원인 없는 작용만 하는 마음123
원인 없는 마음 합계11021418
욕계 아름다운 마음욕계 유익한 마음44824
욕계 과보의 마음448
욕계 작용만 하는 마음448
욕계 아름다운 마음 합계000121224
욕계 마음 합계112183254
고귀한 마음색계 마음색계 유익한 마음4151527
색계 과보의 마음415
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415
색계 마음 합계00012315
무색계 마음무색계 유익한 마음4412
무색계 과보의 마음44
무색계 작용만 하는 마음44
무색계 마음 합계00001212
고귀한 마음 합계000121527
세간의 마음 합계1123047818181
출세간의 마음출세간의 유익한 마음164204040
출세간의 과보의 마음16420
출세간의 마음 합계000328404040
총계112625512112112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五受"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五受
    梵語 pañca vedanāḥ,巴利語 pañca vedanā。指五種覺受。(一)隨觸之領納分為五種。依俱舍論之說,五受即:(1)苦受(梵 duḥkha-vedanā),謂五識相應之身不悅之受。(2)樂受(梵 sukha-vedanā),謂五識相應之身悅及第三靜慮意識相應之心悅。(3)憂受(梵 daurmanasya-vedanā),謂意識相應之心不悅之受。(4)喜受(梵 saumanasya-vedanā),謂初二禪及欲界意識相應之心悅。(5)捨受(梵 upekṣā-vedanā),謂於身心非悅非不悅。此五受於眾生感雜染中,有增上之作用,故立為五根,又稱五受根,即苦根、樂根、憂根、喜根、捨根。〔大集法門經卷下、俱舍論卷三、阿毘達磨發智論卷十四、成唯識論卷五〕
    (二)分別受之自性與相應等有五種。即:(1)自性受(梵 svabhāva-vedanīyatā),為受之心所,即謂苦、樂等諸受。(2)相應受(梵 saṃprayukta-vedanīyatā),即謂與苦、樂等諸受相應之觸心所。(3)所緣受(梵 ālambana-vedanīyatā),又稱境界受,謂苦、樂等諸受之境界。(4)異熟受(梵 vipāka-vedanīyatā),又稱報受,謂感異熟之諸業。(5)現前受(梵 saṃmukhī-bhāva-vedanīyatā),謂苦、樂等諸受中之正起現行者。〔俱舍論卷十五、大毘婆沙論卷一一五、順正理論卷四十、雜阿毘曇心論卷三、俱舍論光記卷十五〕p1456
  2. 운허, "五受(오수". 2013년 3월 7일에 확인
    "五受(오수): 외계와의 접촉에 의하여 쾌락과 고통을 받는 것을 수(受)라 하고, 이것을 5종으로 나눔. 고수(苦受)ㆍ낙수(樂受)ㆍ우수(憂受)ㆍ희수(喜受)ㆍ사수(捨受). ⇒의근행(意近行)"
  3.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1 - T26n1542_p0700c19. 5수근(五受根)
    "樂根云何。謂順樂受。觸所觸時。所起身樂心樂平等受。受所攝。是名樂根。苦根云何。謂順苦受。觸所觸時。所起身苦不平等受。受所攝。是名苦根。喜根云何。謂順喜受。觸所觸時。所起心喜平等受。受所攝。是名喜根。憂根云何。謂順憂受。觸所觸時。所起心憂不平等受。受所攝。是名憂根。捨根云何。謂順捨受。觸所觸時。所起身捨心捨。非平等非不平等受。受所攝。是名捨根。"
  4.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p. 48-49 / 463. 5수근(五受根)
    "낙근(樂根)은 무엇인가? 즐거움을 따라 느낌을 받아 접촉[順樂受觸]하는 것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즐거움이요 마음의 즐거움이며 함께 느끼는 것[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낙근’이라 한다.
    고근(苦根)은 무엇인가? 괴로움에 순응하여 느끼는 접촉[順苦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괴로움이며, 평등하지 않은 느낌[不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고근’이라 한다.
    희근(喜根)은 무엇인가? 기쁨에 순응하여 느끼는 접촉[順喜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마음의 기쁨이며 평등한 느낌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희근’이라 한다.
    우근(憂根)은 무엇인가? 근심을 따라 느낌을 받는 접촉[順憂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마음의 근심이며 평등하지 않은 느낌으로서 이 느낌에 속한 것을 이름하여 ‘우근’이라 한다.
    사근(捨根)은 무엇인가? 버리는 것을 따라 느낌으로 받는 접촉[順捨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평정[捨]이며 평등한 것도 평등하지 않은 것도 아닌 느낌[非平等非不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한 것을 이름하여 ‘사근’이라 한다."
  5. "損惱",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14일에 확인.
    "損惱:
    損 덜 손
    1. 덜다, 줄이다 2. 줄다, 감소하다(減少--) 3. 잃다, 손해(損害)를 보다 4. 해치다, 상하게 하다 5. 헐뜯다, 비난하다 6. 낮추다, 겸손하다(謙遜ㆍ謙巽--) 7. 64괘의 하나
    惱 번뇌할 뇌
    번뇌하다(煩惱--) 2. 괴로워하다 3. 괴롭히다 4. 화내다(火--) 5. 성내다 6. 원망하다(怨望--) 7. 괴로움"
  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3권. p. T29n1558_p0014c06 - T29n1558_p0014c22. 2수(二受)와 5수(五受)
    "頌曰。
     身不悅名苦 即此悅名樂
     及三定心悅 餘處此名喜
     心不悅名憂 中捨二無別
     見修無學道 依九立三根
    論曰。身謂身受。依身起故。即五識相應受。言不悅是損惱義。於身受內能損惱者名為苦根。所言悅者是攝益義。即身受內能攝益者名為樂根。及第三定心相應受能攝益者亦名樂根。第三定中無有身受。五識無故心悅名樂。即此心悅除第三定。於下三地名為喜根。第三靜慮心悅安靜離喜貪故唯名樂根。下三地中心悅麤動有喜貪故唯名喜根。意識相應能損惱受。是心不悅名曰憂根。中謂非悅非不悅即是不苦不樂受。此處中受名為捨根。如是捨根為是身受為是心受。應言通二。"
  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3권. p. 122-124 / 1397. 2수(二受)와 5수(五受)
    "게송으로 말하겠다.
     몸이 즐겁지 않은 것을 고근(苦根)이라 이름하고
     이것의 즐거움을 낙근(樂根)이라 이름하며
     아울러 제3정려의 마음의 즐거움도 낙근이라 하는데
     다른 처(處)에서는 이것을 희근(喜根)이라 이름한다.
     身不悅名苦 卽此悅名樂
     及三定心悅 餘處此名喜
     마음이 즐겁지 않은 것을 우근(憂根)이라 이름하고
     그 중간을 사근(捨根)이라 하니, 두 가지는 무분별이다.
     견도와 수도와 무학도에서는
     아홉 가지의 근으로써 세 가지 근을 설정한다.
     心不悅名憂 中捨二無別
     見修無學道 依九立三根
    논하여 말하겠다. [본송에서] '몸'이란 신수(身受)를 말한다. 즉 신수는 소의신에 의지하여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이같이 말한 것]으로, 바로 5식상응의 수(受)인 것이다. 그리고 '즐겁지 않은 것[不悅]'이라고 하는 말은 바로 손상되거나 고뇌스러운 것[損惱]의 뜻이다. 즉 신수 안에서 능히 손상되거나 고뇌스러운 것을 일컬어 고근(苦根)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본송에서 말한 '즐거움'이란 바로 섭수 장익[攝益]의 뜻이다. 즉 신수 안에서 능히 섭수 장익하는 것을 일컬어 낙근(樂根)이라고 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3정려의 마음과 상응하는 수(受)로서, 능히 섭수 장익하는 것도 역시 낙근이라고 이름한다. 즉 제3정려 중에는 신수가 존재하지 않으며 5식신이 없기 때문에 '마음의 즐거움[心悅]'을 바로 낙근이라 이름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3정려를 제외한 그 아래 세 가지 지(地)에서는 이 같은 마음의 즐거움을 일컬어 희근(喜根)이라 한다. 왜냐하면 제3정려에서의 마음의 즐거움이야말로 안정(安靜)된 것으로 희탐(喜貪)을 떠났기 때문에 오로지 낙근이라고 이름하지만, 그 아래 세 가지 지 중에서의 마음의 즐거움은 추동(麤動)으로 희탐을 갖기 때문에 오로지 희근이라고만 이름하는 것이다.26)
    그리고 의식과 상응하여 능히 손상 고뇌하는 수로서, 바로 마음이 즐겁지 않는 것을 일컬어 우근(憂根)이라고 한다.
    나아가 [본송에서 말한] '중간'이란 바로 즐거운 것도 아니고 즐겁지 않은 것도 아닌 것[非悅非不悅]으로, 바로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를 말하는데, 이러한 수를 일컬어 사근(捨根)이라고 이름한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사근은 바로 신수(身受)라고 해야 할 것인가, 심수(心受)라고 해야 할 것인가?
    마땅히 두 가지 모두와 통하는 것이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26) 의식과 상응하는 마음의 즐거움[心悅, 즉 悅受]에는 두 가지가 있다. 이를테면 제3정려지 중의 그것을 이름하여 낙근이라 하는데, 거기에서는 희탐을 떠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3정려를 제외한 그 아래 세 가지 지, 즉 욕계, 제1·제2 정려지에서는 희탐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여기서의 즐거움의 수는 희근이라고 이름한다.(『현종론』 권제5, 한글대장경200, p. 112-113) 여기서 마음의 희탐(喜貪, prit -r ga)이란 '희'에 미착(味著)하는 것. 즉 이러한 미착에 의하기 때문에 마음의 즐거움에 추동(麤動 : 마음이 거칠게 기뻐 날뛰는 것)함이 있는 것이다."
  8. 곽철환 2003, "오수(五受)". 2013년 3월 7일에 확인
    "오수(五受): 외부의 자극으로 느끼는 다섯 가지 감수 작용. 괴로움을 느끼는 고수(苦受), 즐거움을 느끼는 낙수(樂受), 근심하는 우수(憂受), 기쁨을 느끼는 희수(喜受),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사수(捨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