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 신수 대장경
보이기
다이쇼 신수 대장경(일본어:
팔만대장경을 저본으로 삼고, 전통적인 대장경 이외에도 중국과 일본의 많은 사본을 교감하고,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장경과도 대조하여 편찬하여서 가장 광범하고 정확한 판본으로 평가된다. 돈황사본 등 새롭게 발견된 자료를 추가한 것도 이전 대장경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다이쇼(
출판 배경
[편집]- 일본은 메이지 시대에 이미 팔만대장경을 저본으로 한 《대일본교정대장경축쇄장본》(大日本校訂大藏經縮刷藏本) 40권(불경 8534권), 《대일본교정훈점대장경(大日本校訂訓點大藏經)》(卍字藏經) 36권(불경 7082권), 《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卍續藏經) 150권(불경 6957권), 《대일본불교전서》(大日本佛敎全書) 151권 등 대규모 활자판 대장경이 출판되어서 새로운 대장경을 출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1]
-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대에는 문화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불교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기풍이 있었고, 과거 일본 고승들의 불경을 많이 재출판했다.[2]
편찬 과정
[편집]- 1917년(다이쇼 6년) 도쿄대학 교수 다카쿠스 준지로(일본어:
高楠順次郎 )는 대학 수업의 편의를 위해 대장경을 편찬할 것을 생각.[3] - 1923년(다이쇼 12년) 와타나베 가이쿄쿠(일본어:
渡辺海旭 )와 함께 간행취지서를 발표. 주요 도서관에 교합소 설치.[4] 당시 관련분야 학자들이 다수 협력하여 작업. 그해 출간 예정이었으나 관동 대지진으로 연기. - 1924년(다이쇼 13년) 5월 제1권 아함부상(阿含部上) 출간. 이후 매월 1권씩 출간.
- 1926년(쇼와 1년) 12월 쇼와 연간이 시작되기 전까지 출간된 책은 모두 32권. 전해인 다이쇼 14년까지 출간된 책은 모두 20권.
- 1928년(쇼와 3년) 11월 제55권 목록부 출간으로 정장(正蔵) 55권 출간 완료.
- 1929년(쇼와 4년) 9월 제56권 속논소부 출간. 매월 1권씩 출간.
- 1932년(쇼와 7년) 2월 제85권 고일부·의사부 간행으로 속장(續蔵) 30권 출간 완료.
- 1933년(쇼와 8년) 1월 26일 와타나베 가이쿄쿠 타계.
- 1934년(쇼와 9년) 11월 제88권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3권 출간으로 전체 88권 출간 완료.
- 1935~1941년(쇼와 10~16년) 팔리어 대장경인 《남전대장경》(南伝大蔵経) 출판.
구성
[편집]기존 대장경의 전통적인 체계를 따르지 않고, 역사에 따라 국가별 종파별 분류를 한 것이 특징이다. 하위 분류에서는 기존의 삼장 체계를 적용하였다.
인도부, 중국부 55권을 정장(正蔵)으로, 일본부, 돈황사본, 의사부 30권을 속장(續蔵)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인도부(印度部) 32권
[편집]- 아함부(阿含部) T.0001~T.0151
- 본연부(本縁部) T.0152~T.0219 — 본생경, 법구경 등 아함경 이외의 초기불경.
- 반야부(般若部) T.0220~T.0261
- 법화부(法華部) T.0262~T.0277
- 화엄부(華厳部) T.0278~T.0309
- 보적부(宝積部) T.0310~T.0373
- 열반부(涅槃部) T.0374~T.0396
- 대집부(大集部) T.0397~T.0424
- 경집부(経集部) T.0425~T.0847
- 밀교부(密教部) T.0848~T.1420
- 율부(律部) T.1421~T.1504
- 석경론부(釈経論部) T.1505~T.1535 — 주석서
- 비담부(毘曇部) T.1536~T.1563
- 중관부(中観部) T.1564~T.1578
- 유가부(瑜伽部) T.1579~T.1627
- 논집부(論集部) T.1628~T.1692 — 설일체유부, 중관파, 유가행파의 논장
중국부(中国部) 24권
[편집]- 경소부(経疏部) T.1693~T.1803 — 대승불교의 경에 관한 주석서
- 율소부(律疏部) T.1804~T.1815 — 율에 관한 주석서
- 논소부(論疏部) T.1816~T.1850 — 논에 관한 주석서
- 제종부(諸宗部) T.1851~T.2025 — 기타 종파. 신라의 원효, 의상과 고려의 지눌도 포함.
- 사전부(史伝部) T.2026~T.2120 — 역사서
- 사휘부(事彙部) T.2121~T.2127 — 민간 전승되는 전설
- 목록부(目録部) T.2145~T.2184
돈황사본
[편집]- 고일부(古逸部) T.2732~T.2864
기타 문헌
[편집]일본부(日本部) 29권
[편집]- 속경소부(続経疏部) T.2185~T.2245 — 대승불교 경에 관한 주석서
- 속율소부(続律疏部) T.2246~T.2248 — 율에 관한 주석서
- 속논소부(続論疏部) T.2249~T.2295 — 논에 관한 주석서
- 속제종부(続諸宗部) T.2296~T.2700 — 여러 종파의 문헌
- 실담부(悉曇部) T.2701~T.2731 — 범어, 불교 음악 등에 관한 문헌.
목록부 3권
[편집]-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1권 1929년(쇼와 4년) 7월 발행[9]
-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2권 1929년(쇼와 4년) 4월 발행
-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3권 1934년(쇼와 9년) 11월 발행
도상부(図像部) 12권
[편집]색인
[편집]- 大正新脩大蔵経 索引
- 大正新脩大蔵経総目録
특징
[편집]- 중요한 경전들이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 새롭게 발견된 돈황사본 등이 수록되어 있다.
- 일본 종파들이 망라되어 있다.
- 4대장경(고려, 송, 원, 명) 이외에도 정창원의 천평고사경, 궁내성도서료의 구송판일체경, 돈황사본의 육조고사경 등 여러 사본들과 교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경전과도 대조하였다.[11][12]
- 믿을만한 구두점과 훈독점을 찍었다.[13]
- 고유명사 로마자로 표기로 학술적 사용 고려.
다이쇼 신수 대장경에 실린 신라, 고려, 조선 사람의 저작
[편집]- 원효
- 태현(대현)
- 《본원약사경고적기》(T.1770)
- 《범망경고적기》(T.1815)
-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T.1849)
- 《보살계본종요》(T.1906)
- 둔륜(도륜)
- 《유가론기》(瑜伽論記)(T.1828)
- 의상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勝法界圖)(T.1887A)
- 지눌
- 《진심직설》(眞心直說)(T.2019A)
-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T.2019B)
- 《고려국보조선사수심결》(高麗國普照禪師修心訣)(T.2020)
- 일연
- 《삼국유사》(三國遺事)(T.2039)
- 의천
-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T.2184)
- 김구경 교정
- 《관심론》(觀心論)(T.2833)
- 《대승개심현성돈오진종론》(大乘開心顯性頓悟眞宗論)(T.2835)
-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T.2837)
저작권 문제
[편집]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인용 기호
[편집]- 고유번호
- T.3, T.0003, T3, T0003
- 고유번호(권-쪽).[14][15] 한국 학술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형식.
- T.3(1-154), T.0003(1-154)
- 권-쪽+단(段)[16]
- T01-154a
- 권-쪽+단+줄.[17] 줄수를 확인하기 쉬운 컴퓨터나 인터넷 자료에서 주로 사용.
- T01-154a01
- 한 권이 2개 이상 부(部)로 나뉘는 경우 a, b, c로 표기하기도 한다.
- T85a 古逸部, T85b 疑似部
- 단(段)을 上, 中, 下로 표기하기도 한다.
- T01-154上
수상 내역
[편집]- 1929년(쇼와 4년) 5월 다카쿠스 준지로가 다이쇼 신수 대장경 편찬 공로로 프랑스 학사원 금석학 및 문학 아카데미가 동양학자에게 수여하는 스타니슬라스 줄리앙상(Prix Stanislas Julien) 수상.
관련 학술서
[편집]- 윤기엽,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전자불전, 제10집, 2008.
- 윤기엽, 일본 大正時代 佛敎界의 編纂事業: 《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제48권, 2007.
같이 보기
[편집]영인본
[편집]- 《대정 신수 대장경》(서울: 법보원), 2012. 정장(正藏) 55권.
- 《大正新修大藏經索引-續編》(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92.[18] 17권.
- 《大正新修大藏經總目錄》(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6.[19]
- 《大正新修大藏經圖像部》(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3.[20] 도상부 12권.
- 《大正新修大藏經續編》(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3.[21] 속장(續藏) 30권.
- 《大正新修大藏經正編》(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3.[22] 정장(正藏) 55권.
- 《大正新修大藏經》(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3.[23] 100권.
- 《大正新修大藏經索引-正編》(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80.[24] 31권.
- 《大正新修大藏經索引》(台北: 新文豊出版公司), 197?.[25] 48권.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
[편집]- http://21dzk.l.u-tokyo.ac.jp/SAT/
- http://tripitaka.cbeta.org/T Archived 2020년 4월 30일 - 웨이백 머신
- https://web.archive.org/web/20150216151453/http://greatbook.josephchen.org/
각주
[편집]- ↑ 윤기엽 (2008).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전자불전》 10.
- ↑ 윤기엽 (2007). “일본 大正時代 佛敎界의 編纂事業: 《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을 중심으로”. 《한국불교학》 48: 559-562.
-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834
- ↑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73834
- ↑ http://daizoshuppan.jinbunpub.com/daizo/Shop/ThisBook.aspx?KanriNo=9-010-00020-0-0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http://daizoshuppan.jinbunpub.com/daizo/Shop/ThisBook.aspx?KanriNo=9-010-00030-0-0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http://daizoshuppan.jinbunpub.com/daizo/Shop/ThisBook.aspx?KanriNo=9-010-00040-0-0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http://daizoshuppan.jinbunpub.com/daizo/Shop/ThisBook.aspx?KanriNo=9-010-00050-0-0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윤기엽,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전자불전, 제10집, 2008, 주24.
- ↑ http://daizoshuppan.jinbunpub.com/daizo/Shop/ThisBook.aspx?KanriNo=9-010-00060-0-0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윤기엽,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전자불전, 제10집, 2008.
- ↑ 다카쿠스 준지로는 다이쇼 신수 대장경이 완간된 바로 다음해부터 《남전대장경》을 편찬하기 시작한다.
- ↑ 윤기엽, 다이쇼 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의 편찬과정과 체재, 전자불전, 제10집, 2008.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4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다이쇼 신수 대장경은 세로 3단(段) 29줄이다.
- ↑ 다이쇼 신수 대장경은 세로 3단(段) 29줄이다.
- ↑ http://www.swfc.com.tw/book_view.php?Vcode=165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4년 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http://www.swfc.com.tw/book_view.php?Vcode=164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6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9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다이쇼 신수 대장경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