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 Purple (음반)
《Deep Purple》은 《Deep Purple III》라고도 불리며 영국의 하드 록 밴드 딥 퍼플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69년 6월 미국 테트라그라마톤 레코드에서 발매되었고 1969년 9월 영국 하비스트 레코드에서만 발매되었다. 발매 전에는 싱글 〈Emmaretta〉와 영국에서의 긴 투어가 있었고, 그들의 날짜는 음반의 녹음 세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있었다.
《Deep Purple》 | ||||
---|---|---|---|---|
딥 퍼플의 정규 음반 | ||||
출시 | 1969년 6월 21일 (미국) 1969년 9월 (영국) | |||
녹음 | 1969년 1월~3월 | |||
장르 |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하드 록 | |||
길이 | 44:34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테트라그라마톤 (미국) 하비스트 (영국) | |||
프로듀서 | 데릭 로렌스 | |||
딥 퍼플 연표 | ||||
|
전문가 평가 | |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1] |
PopMatters | [2] |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 7/10[3] |
이 음반의 음악은 대부분 독창적이고 프로그레시브 록, 하드 록, 사이키델릭 록이 결합되어 있지만, 과거보다 더 단단한 가장자리와 기타 부분이 더 많은 증거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타리스트 리치 블랙모어가 작곡가로 성장한 것과 키보디스트 존 로드가 제안한 클래식 음악과 록의 융합과 밴드의 이전 발매에서 충분히 구현된 것에 대한 밴드 내 갈등 때문이었다.
1969년 4월, 밴드는 거의 파산한 미국 음반사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한 채 두 번째 미국 투어를 시작했다. 투어 동안 딥 퍼플은 연주자로서 놀라운 발전과 이전보다 더 무겁고 큰 소리를 지향하는 음악적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보컬리스트 로드 에번스와 다른 밴드 멤버들이 추구하고자 했던 하드 록 음악의 호환성에 대한 의구심이 밴드 에피소드 식스의 이언 길런에게서 발견된 대체 음악을 찾기로 결정했다. 길런은 에피소드 식스의 베이시스트 로저 글로버와 함께 작곡 듀오를 결성했는데, 그는 또한 딥 퍼플과 닉 심퍼의 후임으로 초대받았다. 밴드의 새로운 라인업인 마크 II는 1969년 7월 10일 런던에서 라이브로 데뷔했다.
이 음반은 밴드의 마크 I 라인업에 의해 발매된 세 장의 음반 중 상업적으로 가장 덜 성공적이었으며, 발매와 동시에 비평가들에 의해 무시되었다. 현대적인 리뷰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이며, 음반 내의 다양한 스타일과 노래 편곡의 대담함에 대해 언급한다.
배경
편집1968년 말 딥 퍼플은 두 번째 음반 《The Book of Taliesyn》을 홍보하기 위해 성공적인 첫 번째 미국 투어를 시작했고 1969년 1월 3일 귀국했다.[4] 이 밴드는 영국에서 언더그라운드 활동으로 간주되었지만, 미국에서의 성공 소식은 그들의 국내에서의 명성에 영향을 미쳤고, 점차 인기와 요청이 증가했다.[4][5] 그러나 그들의 발매는 영국에서 아직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6], 닐 다이아몬드의 〈Kentucky Woman〉의 커버곡인 두 번째 싱글은 차트에 오르지 못했고, 미국에서 38위[7], 캐나다에서 21위로[8] 정점을 찍은 후 6주 만에 후퇴했다.[9]
딥 퍼플의 미국 레이블 테트라그라마톤 레코드는 밴드에게 그들의 히트곡 〈Hush〉의 성공에 걸맞게 싱글을 만들라고 압력을 넣었고[10], 밴드는 그들의 투어의 마지막 날짜에 미국에 있는 동안 그 요청을 충족시키려고 노력했고, 그들은 1968년 12월 뉴욕 스튜디오에서 몇몇 커버를 녹음했지만 가치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11] 음악가들은 그들의 두 번째 음반을 위해 훨씬 더 복잡한 오리지널 자료를 생각해 냈고, 3분대에 쉽게 맞는 노래를 만드는 것은 분명히 어려워지고 있었다.[4]
그들의 미국 투어 며칠 후, 딥 퍼플은 《The Book of Taliesyn》 세션에 이미 사용된 런던 킹스웨이의 드 레인 리 스튜디오에서 그들의 평소 프로듀서인 데릭 로렌스와 함께 새로운 곡을 작곡하고 녹음하고 새로운 싱글 문제를 해결했다.[10] 〈Emmaretta〉 (가수 로드 에번스가 미국에서 만난 뮤지컬 《헤어》 캐스트 멤버 에마레타 마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라는 곡은 그 목적을 위해 작곡되었고 4 테이크 후에 1969년 1월 7일에 녹음되었다.[4] 더 무겁고 실험적인 곡 〈The Bird Has Flown〉는 같은 날 나중에 편곡되어 녹음되었고 미국 발매의 B-사이드로 선택되었다.[4] 그들의 이전 음반의 기악곡 〈Wring That Neck〉는 1969년 2월에 발행되었고 딥 퍼플이 그들의 첫 번째 완전한 영국 투어에서 홍보한 〈Emmaretta〉의 영국 판의 B-사이드이었다.[4] 딥 퍼플이 미국보다 영국에서 먼저 발매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4] 투어는 2월 6일 버밍엄에서 BBC 라디오 1의 콘서트로 시작되었고[5], 2월과 3월 동안 전국의 클럽과 대학에서 1박 2일로 진행되었다.[4][12] 딥 퍼플의 가시성과 영국 대중에 대한 그들의 관심은 지역 음악 잡지들이 그들에 대한 몇 가지 기사를 싣도록 유도했다.[4] 그러나 키보디스트이자 대변인인 존 로드가 공개적으로 미국에서 공연 한 번에 2500파운드를 내면 집에 돌아와 하룻밤에 150파운드를 지불하는 작은 공연장만 예약할 수 있다고 말한 후, 전형적인 헤드라인은 "딥 퍼플은 이상을 위해 굶지 않을 것이다"와 "그들은 영국에서 일하는 밤에 2350파운드를 잃는다"였다.[13]
커버 아트
편집테트라그라마톤은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그림 《세속적인 쾌락의 동산》의 세그먼트화된 삽화로 감싸진 스타크 게이트폴드 슬리브로 음반을 발행했다.[15] 이 레이블은 미국에서 부도덕한 장면을 특징으로 하는 반종교적인 것으로 잘못 인식된 프라도 미술관 소유의 그림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고, 따라서 많은 음반 가게들에 의해 거부되거나 재고가 부족했다.[1][16] 오리지널 그림은 컬러이지만, 오리지널 레이아웃에 대한 인쇄 오류로 인해 단색으로 LP에 나타났고 밴드는 이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5] 같은 보스 그림의 다른 부분(컬러)은 2년 전 펄스 비포 스와인이 데뷔한 《One Nation Underground》에서 음반 커버로 사용되었다.[17]
발매 및 홍보
편집테트라그라마톤 레코드는 활동한 지 1년밖에 되지 않았지만, 미국에서 파산 직전이었다.[13] 초기의 견고한 재정 기반은 값비싼 판촉 캠페인과 실패한 상업 전략에 의해 빠르게 침식되었다.[13][18][19] 딥 퍼플은 이 레이블의 가장 성공적인 아티스트였지만, 밴드는 〈Hush〉와 같은 다른 히트 싱글을 생산하지 못했고[13], 1969년 4월 두 번째 미국 투어에 딱 맞춰 발매된 그들의 신곡 〈Emmaretta〉 역시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고 미국 차트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0] 레이블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딥 퍼플의 인쇄가 지연되었는데, 이는 밴드가 미국 투어를 마치고 귀국한 후 1969년 6월 21일에야 미국에서 발매되었다.[15]
영국에서는 1969년 6월 24일 BBC 라디오 세션에서 〈Lalena〉와 〈The Painter〉가 라이브로 공연되었다.[21] 이 음반은 1969년 9월 영국에서 EMI의 하위 레이블 하비스트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는데, 런던의 로열 앨버트 홀에서 열렸던 많은 인기를 끈 행사 《Concerto for Group and Orchestra》와 비슷한 시기였다.[21][22] 그 당시 딥 퍼플의 라인업은 이미 바뀌었다.[23] 이 음반은 1969년 10월 폴리도르 레코드에 의해 캐나다와 일본에서 유통되었다.[24]
《Deep Purple》은 매우 적은 횟수로 유럽에서만 재발행되었으며, 종종 마크 I 라인업에 의해 녹음된 다른 두 개의 음반과 함께 세트로 발매되었다.[25][26] 음반의 다른 유일한 국제 재발행은 EMI의 리마스터드 2000 CD 에디션으로, 〈The Bird Has Flown〉, 〈Emmaretta〉 버전과 보너스 트랙으로 BBC 라디오 세션에서 가져온 라이브 공연이 포함되어 있다.[27] 모든 곡들은 런던의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피터 뮤에 의해 디지털로 리메이크되었다.[27]
곡 목록
편집모든 크레딧은 오리지널 발매에서 수정되었다.[27][28]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Chasing Shadows | 이언 페이스, 존 로드 | 5:34 |
2. | Blind | 로드 | 5:26 |
3. | Lalena (도노반 커버) | 도노반 리치 | 5:05 |
4. | Fault Line (기악) | 리치 블랙모어, 닉 심퍼, 로드, 페이스 | 1:46 |
5. | The Painter | 블랙모어, 로드 에번스, 로드, 심퍼, 페이스 | 3:51 |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6. | Why Didn't Rosemary? | 블랙모어, 에번스, 로드, 심퍼, 페이스 | 5:04 |
7. | Bird Has Flown | 로드, 에번스, 블랙모어 | 5:36 |
8. | April | 블랙모어, 로드 | 12:10 |
각주
편집- ↑ 가 나 Eder, Bruce. “Deep Purple – Deep Purple review”. AllMusic. 2017년 2월 8일에 확인함.
- ↑ Beaudoin, Jedd (2011년 10월 20일). “Deep Purple: Shades of Deep Purple / The Book of Taliesyn / Deep Purple”. 《PopMatters》. 2013년 12월 25일에 확인함.
- ↑ Popoff, Martin (October 2003).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Volume 1: The Seventies》. Burlington, Ontario, Canada: Collector's Guide Publishing. 83쪽. ISBN 978-189495902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Robinson: p. 4
- ↑ 가 나 Thompson: p. 58
- ↑ Popoff: p. 33
- ↑ “The Book of Taliesyn Billboard Singles”. AllMusic. 2016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Top Singles – Volume 10, No. 16, December 16 1968”. Library and Archives Canada. 1968년 12월 16일.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Robinson, Simon (2000). 《The Book of Taliesyn Remastered》 (CD Booklet). Deep Purple. London: EMI. 8쪽. 7243 5 21608 22.
- ↑ 가 나 Bloom: p.121
- ↑ Thompson: p. 56
- ↑ “Deep Purple Live Index – search for Mk I (68/69)”. Deep Purple Live Index.com. 2014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Robinson: p. 5
- ↑ Gombrich, E. H. "Bosch's 'Garden of Earthly Delights': A Progress Report". Journal of the Warburg and Courtauld Institutes, Volume 32, 1969: 162–170
- ↑ 가 나 다 Robinson: p. 7
- ↑ Robinson: p. 8
- ↑ Kurtz, Peter. “Pearls Before Swine – One Nation Underground review”. AllMusic. 2017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Thompson: p. 31
- ↑ Thompson: p. 59
- ↑ Robinson: p. 6
- ↑ 가 나 Robinson: p. 10
- ↑ “Album Reviews” (PDF). 《Melody Maker》. 1969년 9월 20일. 21쪽. 2021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Robinson, Simon (1995). 《Deep Purple in Rock》 (CD Booklet). Deep Purple. London: EMI. 9쪽. 7243 8 3401925.
- ↑ “Deep Purple”. The Highway Star.com. 2020년 7월 4일에 확인함.
- ↑ Robinson: p. 11
- ↑ “Shades of Deep Purple”. Deep-Purple.net. 2014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Deep Purple (2000). 《Deep Purple Remastered》 (CD Sleeve). London, UK: EMI. 7243 5 21597 27.
- ↑ Deep Purple (1969). 《Deep Purple》 (LP Sleeve). London, UK: Harvest Records SHVL 759.
외부 링크
편집- Deep Purple lyrics
- Deep Purple - 디스코그스 (발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