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진어
하나의 언어
여진어(女眞語)는 여진족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퉁구스어족 계열의 언어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 사어(死語)로, 이후 건주여진 방언을 중심으로 만주어가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사용 지역 | 과거의 만주 일대와 청나라 |
---|---|
사용 민족 | 여진족 |
사멸 | 17세기 만주어로 발전 |
언어 계통 | 퉁구스어족 남부 퉁구스어파 여진어군 여진어 |
언어 부호 | |
ISO 639-3 | juc 여진어
|
글로톨로그 | jurc1239[1] |
계통
편집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의 직계 조상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2]
여진 문자로 기록된 금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 아십하(阿什河) 유역의 완안부 방언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만주지역에 잔존한 여진족은 각자의 방언을 계승하였다.
음운
편집자음
편집순음 | 설첨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
---|---|---|---|---|---|---|
파열음 | 경음 | t | k | q | ||
연음 | b | d | g | γ | ||
마찰음 | f | s | š | h | x | |
파찰음 | 경음 | č | ||||
연음 | ǰ | |||||
비음 | m | n | ŋ | (ŋ) | ||
유음 | l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y |
구개수음 q, γ, x는 모음 a, o, u 앞에서만 나타나며 각각 k, g, h의 변이음이다.
모음
편집명대 여진어의 모음조화에 따른 모음 분류는 다음과 같다.[3]
후설 모음 | a | o |
---|---|---|
전설 모음 | e | |
중립 모음 | i | u |
표기 체계
편집1119년에 완성된 여진 문자가 여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한자계의 문자이면서도 거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연해주 남부 및 중국의 만주 지역에서의 발굴 시에 진흙용기, 청동거울 및 기타 물품들에서 여진어를 찾을 수 있었다. 묘비 및 돌 등에 새겨진 문자들은 잘 알려져 있다.
방언
편집금이 망한 뒤 명대에는 다음 네 가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 문헌
편집- Herbert Franke, Denis Twitchett,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ISBN 0-521-24331-9. Partial text on Google Books
- Wilhelm Grube, Die Sprache und Schrift der Jučen. Leipzig: Otto Harrassowitz, 1896. [1]
- Daniel Kane, The Sino-Jurchen Vocabulary of the Bureau of Interpreters. (Uralic and Altaic Series, Vol. 15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Bloomington, Indiana, 1989. ISBN 0-933070-23-3.
- Gisaburo N. Kiyose,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 Reconstruction and Decipherment. Kyoto: Horitsubunka-sha, 1977. ISBN 4-589-00794-0.
- Певнов А. М. Чжурчжэньский язык // Языки мира: 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е языки. М., 1997.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Jurche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鋤田智彦 (2019년 3월 15일).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創立40周年記念国際シンポジウム報告書》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50–51.
- ↑ 가 나 N., Kiyose, Gisabuō (1977).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