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iBet uBet web content aggregator. Adding the entire web to your favor.



Link to original content: http://ko.m.wikipedia.org/wiki/여진어
여진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여진어

하나의 언어

여진어(女眞語)는 여진족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퉁구스어족 계열의 언어이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 사어(死語)로, 이후 건주여진 방언을 중심으로 만주어가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여진어
사용 지역 과거의 만주 일대와 청나라
사용 민족 여진족
사멸 17세기 만주어로 발전
언어 계통 퉁구스어족
 남부 퉁구스어파
  여진어군
   여진어
언어 부호
ISO 639-3 juc 여진어
글로톨로그 jurc1239[1]

계통

편집

퉁구스어족에 속하며 만주어의 직계 조상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2]

여진 문자로 기록된 금대의 표준 여진어는 흑수말갈 아십하(阿什河) 유역의 완안부 방언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만주지역에 잔존한 여진족은 각자의 방언을 계승하였다.

음운

편집

자음

편집

명대 여진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3]

순음 설첨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파열음 경음 t k q
연음 b d g γ
마찰음 f s š h x
파찰음 경음 č
연음 ǰ
비음 m n ŋ (ŋ)
유음 l
전동음 r
접근음 w y

구개수음 q, γ, x는 모음 a, o, u 앞에서만 나타나며 각각 k, g, h의 변이음이다.

모음

편집

명대 여진어의 모음조화에 따른 모음 분류는 다음과 같다.[3]

후설 모음 a o
전설 모음 e
중립 모음 i u

표기 체계

편집

1119년에 완성된 여진 문자가 여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한자계의 문자이면서도 거란 문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연해주 남부 및 중국의 만주 지역에서의 발굴 시에 진흙용기, 청동거울 및 기타 물품들에서 여진어를 찾을 수 있었다. 묘비 및 돌 등에 새겨진 문자들은 잘 알려져 있다.

방언

편집

금이 망한 뒤 명대에는 다음 네 가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동해여진어 - 우수리강 주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동음(東音)으로 발전한다.
  • 흑룡강여진어 - 헤이룽장강 일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북음(北音)으로 발전한다.
  • 해서여진어 - 해서여진의 방언. 나중에 건주여진어와 합쳐진다.
  • 건주여진어 - 건주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남음(南音)으로 발전하며 청대 표준 만주어의 원형이다.

참고 문헌

편집
  • Herbert Franke, Denis Twitchett,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ISBN 0-521-24331-9. Partial text on Google Books
  • Wilhelm Grube, Die Sprache und Schrift der Jučen. Leipzig: Otto Harrassowitz, 1896. [1]
  • Daniel Kane, The Sino-Jurchen Vocabulary of the Bureau of Interpreters. (Uralic and Altaic Series, Vol. 15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Inner Asian Studies. Bloomington, Indiana, 1989. ISBN 0-933070-23-3.
  • Gisaburo N. Kiyose,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 Reconstruction and Decipherment. Kyoto: Horitsubunka-sha, 1977. ISBN 4-589-00794-0.
  • Певнов А. М. Чжурчжэньский язык // Языки мира: Тунгусо-маньчжурские языки. М., 1997.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Jurche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鋤田智彦 (2019년 3월 15일).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創立40周年記念国際シンポジウム報告書》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50–51. 
  3. N., Kiyose, Gisabuō (1977). 《A study of the Jurchen language and script.》.